“행정실에 행정실무사 1명, 교무실에 교무행정지원사가 2명이나 있지만 업무가 많다며 교실을 비롯한 60개실에 정·부가 표기된 방화관리자를 교사로 명시, 코팅해 붙이고 있어요. 홈페이지관리, 방송기자재 설치 등 교육 외적 업무들로 갈등이 빚어지곤 합니다. 업무가 학교마다 다르니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경기 남양주 초등교사)
한국교총이 교육부와의 단체교섭에서 교감을 부교장으로 명칭 변경해줄 것을 요구한 가운데 현장에서는 다양한 의견이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공통적으로는 무엇보다 이번 기회로 학교 여건과 상황에 따라 다른 교무·일반 행정의 관계가 정리되고 역할이 보다 명확해지길 바랐다. 교원업무경감이 논의될 때마다 실질적 업무경감을 위해서는 교무-일반 행정을 확실히 나눠 제도를 정비하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계속돼 왔다.
주된 갈등 부분은 안전공제회 업무, 학생 전·출입, 소방교육 및 민방위, 인사관리,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교과서 배분, 위생 점검, 행정실무사 관리, 급식실 업무 등이다. 공문처리 시에도 공문에 ‘교육’이 들어가느냐 그렇지 않으냐를 두고 심한 경우 갑론을박이 오가기도 한다는 전언이다. 인천 H고 교사는 “복사용지 지원, 에어컨 난방온도조절, 책걸상 수리 문제 등 원활히 업무를 지원해주지 않을 때 주로 마찰이 인다”며 “교감이 다시 지원을 부탁해도 행정실은 월권이라며 실랑이를 벌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원기 서울 인왕중 교장도 “애매모호한 업무는 관례에 따라 처리해왔다”며 “전입학 문제, 교과서 배분 등 업무 핑퐁이 있어온 만큼 행정실장과의 협조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종수 의정부호동초 교장은 “교장·교감의 역량, 학교규모 등에 따라 행정실과 교무실 간 역할 분담에 차이가 많아 갈등 소지는 항상 있어왔다”며 “행정실은 교장의 견제역할은 해야 한다는 인식이고, 업무는 교장과 진행하려는 경우가 많아 교감의 난처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명칭 변경에 찬성했다. 이재승 평택 은혜중 교감도 “행정실은 주로 교장과 업무를 진행하니 교감 입장에서 중요한 사항을 놓칠 때가 있다”며 “부교장으로 라인을 정리하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광진 전북 계북초 교장은 “기능직 공무원들과 조리종사원 등 다양한 구성원들이 들어와 행정실 비중이 커졌다”면서 “행정실도 이제 교육이라는 공통 목적을 위해 봉사해야 하는 학교구성원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관리자 조율로 해결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 이시우 서울 잠신고 교장은 “우리 학교는 불만이 생길 경우 반드시 교무실은 교감, 행정실은 행정실장을 통해 소통하도록 한다”면서 “제기된 문제들은 매일 아침 교장-교감-행정실장이 회의로 해결함으로써 갈등 상황을 만들지 않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인섭 서울 국제고 교장도 “누구의 업무라고 결단을 내리기보다 주무, 보조 식으로 주·부를 나누면 보통 잘 해결 된다”는 의견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