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7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9℃
  • 구름많음강릉 23.0℃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대전 20.5℃
  • 구름많음대구 20.3℃
  • 구름많음울산 20.7℃
  • 구름많음광주 20.3℃
  • 구름많음부산 21.6℃
  • 구름조금고창 ℃
  • 맑음제주 23.1℃
  • 구름많음강화 18.4℃
  • 구름많음보은 18.3℃
  • 구름많음금산 20.1℃
  • 구름조금강진군 22.3℃
  • 구름많음경주시 18.9℃
  • 구름조금거제 21.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정착, 정부지원·현장이해 바탕으로

직능원 진로교육 국제포럼

“사실 전환학년제가 40년 동안 서서히 확대된 건 아닙니다.”

게리 제퍼스 아일랜드국립대 교수가 13일 ‘진로탐색을 위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열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박영범)의 ‘진로교육 국제포럼’에서 전환학년제의 전국적 확산에 정부의 지원이라는 배경이 있음을 밝혔다.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정착 과정을 교사와 국가정책 담당자, 연구자로 지켜본 제퍼스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전환학년제는 1974년 도입 이래 20여 년 동안 답보상태에 있었다. 1993년에도 참여 학생은 전체의 13%에 불과했다. 아일랜드 교육부가 운영학교 보조금 지급, 보조교사로 구성된 지원서비스 구축, 학교·지역단위 연수 등을 시행한 이후 급격히 확대돼 80%의 학교가 도입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지원만으론 정착이 어렵다는 것이 제퍼스 교수의 설명이다. 정책목표가 명확하고 학교단위에서 정책 논리가 이해돼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가 효과적인 전환학년제 운영 요인으로 꼽은 ▲좋은 교육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역량 ▲학부모의 지지 ▲학교장의 지도력은 모두 현장교원의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지역별 체험인프라 격차에 대해서도 “학생들이 자신을 알아가는 것이라는 정책목표가 분명하다면 주변에 번듯한 체험 장소가 없어도 교육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학생들이 학교에 와서 체험보고를 하는 과정에서 자신을과 사회를 알아가는 교육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보고, 보고, 보고”를 세 번 연달아 강조할 정도로 체험프로그램 자체보다는 이후 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입시가 치열한 아일랜드에서도 제도 정착의 가장 큰 과제는 ‘평가’였다. 결국 채택된 방식은 포트폴리오 평가다. 최소 2명의 교사가 한 학생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해 공정성을 확보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정착중인 전환학년제도 참여 학생 비율은 절반을 겨우 넘은 55%다.

국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쟁점들도 여전히 유효하다. 입시와 사회의 경쟁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 때문에 기존 교과학습 프로그램에 맞춰 전환학년제를 변형‧운영하는 사례도 있다. 제퍼스 교수는 “한국에서도 자유학기제를 학교현장에서 잘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그 다음 과제는 42개 학교의 시범운영 결과 드러난 문제점을 솔직하게 평가하고 반영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