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릴레이기고> 소신 펼칠 수 있는 교단에 서고파

내가 바라는 교육대통령 ⑤
내가 바라는 서울교육감

우리는 누구나 교육은 국가의 ‘백년지계’(百年之計)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백년은 커녕 10년도 내다보지 못하고 교육현장에서 정착이 될 틈도 없이 대통령이 새로 선출되면 교육정책을 바꿔 왔다.

정부 수립이후 대통령 선거 때마다 나오는 교육공약을 보면 세계 여러 나라 장미 빛 교육정책이 모두 들어 있었다. 선진국의 교육제도나 대안을 공약으로 제시했지만 해법이 되지 못했다. 오로지 자신의 자녀를 일류대학을 보내야겠다는 학부모들의 요구를 어떤 정책이나 공약으로도 충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이상적인 제도가 있더라도 구성원이 노력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우리 모두가 교육자의 근본으로 돌아가 자신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교육 풍토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감사하고 만족하는 마음을 갖기보다 부족함을 느끼기 쉬워 교육이 자신의 기대치에 닿지 않는다고 불평하고 자녀의 학교성적이 다른 아이에 비해서 낮고 좋은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면 교육정책이 잘못됐다고 불만을 갖기도 한다. 그러나 이제는 교육의 근본이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교육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 위한 것이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권력을 갖거나 부자가 되기 위해 오직 명문대학에 진학해야 한다고 믿고 있던 가치 기준을 바꿔야 한다.

대통령은 국민에게 무엇이든지 해주겠다는 공허한 공약보다는 정직하고 올곧은 모습을 보여주고 교육자들이 현장에서 법률에 따라 소신 있게 교육할 수 있게 만들어 줘야 한다. 학생들이 자신을 가르치는 교사를 만족도의 평가 대상으로 삼고 있는 현장에서는 그것이 가능하지 않다. 교육현장에서 미래의 세상에 대해 대처하고 준비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소신을 펼칠 수 있는 교단을 만들어줘야 한다.

교육학자 수호믈린스키는 “교육은 바로 모든 사람들이 자신에게 부여된 천품이 모든 분야에서 자기를 가장 원만하게 표현하도록 하는데 있다”며 “자신을 충분히 표현하는 것이 사회의 행복이며 또한 개인의 행복”이라고 했다. 우리가 찾는 책임과 배려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를 교육하는 데서 시작한다.

한 달도 남지 않은 대선을 앞두고 교육대통령을 만들어내기 위해 우리들 자신부터 넓은 안목을 갖추고 법을 지키며 원칙과 정직, 예절을 가르치는 교사가 돼야 한다.

다음 대통령은 황폐해진 교육현장에서 법과 질서와 정직을 가르칠 수 있는 기본이 바로서는 교육현장을 만들어 주는 교육대통령이 되기를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