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교대 박사과정 개설…초등 60년 숙원 교총이 풀었다

안 회장 “일반대 통폐합 논란 종지부 의미 커”
11개 교대 환영 “초등 실무형 전문가 키울 것”

교육대학교 박사과정 도입이 드디어 실현됐다. 교과부가 30일 발표한 ‘교육대학 전문대학원 설치계획’에 따라 교대에도 박사과정 개설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교대 박사과정 설치는 한국교총이 20년 가까이 추진해온 숙원사업이다.

현재 전국의 11개 교대(한국교원대 포함)에는 특수대학원인 교육대학원이 설치돼 석사학위까지만 취득이 가능하다. 교과부는 이를 교육전문대학원 체제로 바꿔 교대졸업자(초등교사 자격증 보유자)를 대상으로 석·박사과정을 운영,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이영찬 교원양성연수팀장은 “교총 연구소의 연구 결과와 교원양성대학교발전위원회 의견을 바탕으로 안을 마련했다”면서 “초등교육에 맞는 이론과 실제에 능통한 실무형 전문가 배출의 기회가 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대에 교육대학원이 설치(1996년)되기도 전인 1994년부터 박사과정의 필요성을 주장했던 교총은 안양옥 회장 취임 직후 2010년 하반기부터 ‘교대 박사과정 설치’를 핵심 정책과제로 추진해 왔다. 교총은 2011년 1월 ‘한국교총 교육대학특별위원’ 구성을 계기로 공주교대-공주대, 대구교대-경북대 통합 등 교과부의 교대 통폐합 저지를 위해 8월 ‘초등교육발전대표자연대(상임대표 안양옥 교총회장, 박남기 교대총장협의회장)’를 출범시키고, 10월 교과부-교원양성대학교 구조개혁 추진 업무협약(MOU)에 박사과정 개설을 포함하는데 주요 역할을 했다. 이후 양성대학교발전위원회(공동위원장 안양옥 교총회장, 김상용 부산교대 총장)에서 박사과정 설치 기본방향 논의를 거쳐 결과를 이끌어냈다.




안 회장은 “자기 연찬과 평생교육 욕구가 남달리 높은 초등교원들이 계속교육의 기회를 박탈 당해온 것이 안타까웠는데 결실을 맺게 돼 기쁘다”며 “그간 일반대 통폐합 추진 등 교대에 대한 교과부의 잘못된 시각을 바로잡고 박사과정 개설을 통해 통폐합 논의를 중단시켰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안 회장은 “박사과정 개설을 계기로 교대가 초등교육발전은 물론 세계를 향해 교육한류를 펼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교과부는 교대를 대상으로 전문대학원 신청을 받아 서면평가·면담심사·현장실사·최종심사를 거쳐 11월 최종 결정된다. 심사를 통해 승인된 교대는 2013학년도 입학생부터 박사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이영찬 팀장은 “교원‧교사 등 여건을 충족하는 대학은 승인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국 11개 교대도 적극 환영하며 준비해온 박사과정 운영 계획을 속속 내놓고 있다. 전국교대총장협의회 회장이자 양성대학교발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상용 부산교대 총장은 “교총의 도움이 정말 컸다”고 치하하고 “첫발을 내딛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면서 “명목상 1~2개 대학에만 설치하는데 그치지 않도록 권역별 개설 등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