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명퇴교원 수는 4738명이다. 4년 전인 2009년부터 해마다 증가해 당시 2776명에 비해 70%나 늘어났다. 한국교총이 지난 스승의 날에 실시한 ‘교원인식설문조사’에 그 원인이 드러났다. 94.8%의 교사가 명퇴증가의 원인이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어려움’이라고 답했다. 가장 많은 교사들이 꼽은 ‘변화’는 학생인권 조례 추진 등으로 학생지도가 어려워지고 교권이 추락한 것이었다.
필자의 동료들도 여러 명 교단을 떠났다. 모두에게 이유를 듣지는 못했지만 대부분 이 설문조사 내용에 공감했을 것이다. 분명한 사실은 그만큼 ‘선생질’하기가 힘들어진 세상이라는 점이다.
수업시간에 자는 애들 깨우지 않고, 화장하거나 매니큐어 칠한 학생들 봐도 그냥 말로만 살짝 언급하고 넘어가야 무사할 수 있고 그냥 0점 받겠다며 수행평가에 응하지 않는 학생을 어떻게 하지 못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교사 역시 스승이기는커녕 그냥 ‘월급쟁이’일 뿐이라면 필자만의 억지스런 호들갑일까? 명퇴한 교사들은 아마도 그런 ‘선생질’을 하지 못한 강직함으로 똘똘 뭉친 제2의 페스탈로치들일 것이다.
이러니 필자도 학교를 떠나고 싶은 마음이 든다. 이 상황에서도 자리를 지키는 교사들의 초인적인 힘이 신기할 정도다. 이런 마음이 드는 것은 단순히 환경이 힘들어서만은 아니다. 예전처럼 교사로서의 ‘존재감’과 자부심을 느낄 수 없어서다. 글쓰기 지도를 해오는 것을 보람으로 여겼는데, “백일장에 꼭 가야 하냐?”며 다그치듯 말하는 젊은 학부모에 놀라고, 교사가 직접 승용차에 태워 백일장에 참가시킨 학생의 버스표를 첨부하라는 탁상행정에 오만 정이 다 떨어져서다.
30년 교사를 하면서 지금 같은 열악한 상황은 처음인 것 같다. 예전 주당 수업시간이 아주 많았을 때도 국어교사더러 도덕과목을 가르치라 했을 때도 이런 참담한 기분은 아니었다. 가르치는 보람이 있었기에 ‘천직’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교단에 설 수 있었던 것이다.
교사들의 자부심을 앗아간 것은 그 천직을 개혁의 대상으로 삼고 온갖 행정만 늘려놓은 정부일 것이다. 가시적 성과의 숫자 놀음이 교육의 본질은 아닐진대, 그것만을 강조한다. 물색 모르고 정치 구호만 내세운 이른바 진보교육감들도 그 책임감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다. 교사로서 지녀왔던 존재감이 자꾸 희미해져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