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들어 학교폭력과 관련된 뉴스가 빈번히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흐름을 관망할 때 이는 예견된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홍익인간을 교육이념으로 내세우는 학교교육이 실상은 입시 위주의 주지교과 중심 교육에 치중하다보니 전인적 성장을 위한 심신발달까지 배려할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창 성장기인 청소년들에게 머리를 채우는 교육만 넘치고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교육이 미흡하기 때문에 정서적 표출을 조절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여겨진다. 물론 여기에 대중매체의 영향, 이기적인 가정교육, 붕괴된 가족의 증가 등도 한 몫을 하겠지만 말이다. 진정으로 지·덕·체를 육성하는 인간교육에 중점을 둔 교육을 지향한다면 인지발달, 감성발달, 신체발달을 배려한 균형 잡힌 교육과정이 공교육에서 매학기 실시돼야 할 것이다.
전인교육 위해 감성발달 고려를
현재 학교에서는 음악이나 미술을 한 학기 또는 한 학년에 몰아서 교육하는 집중이수제가 시행되고 있다. 신체발달과 연관된 체육은 매학기 교육하는데 감성을 발달시키는 예술교육은 집중적으로 교육하였다가 한 학기 또는 한 학년은 교육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몸은 계속 자라기 때문에 체육교육은 연속적으로 실시하고 감성은 한 번 급성장한 후 쉬고, 다시 급성장했다가 쉬기 때문에 예술교육만 집중이수제를 실시한단 말인가? 아니면, 청각적 감성이 발달하는 동안에 시각적 감성이 발달하는 것을 무시해도 되고 시각적 감성이 발달하는 동안에 청각적 감성이 발달하는 것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단 말인가? 인간이 보고, 듣고, 움직이고, 생각하는 것을 동시에 하는데 어찌 공교육에서 인지발달과 신체발달에 관련된 교과목만 연속적으로 제공하고 감성발달과 관련된 교과목은 지속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단 말인가? 발달 단계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이 필요하지 않은가? 결국 전인적 성장을 위해 인간의 감성을 다루는 예술교육도 반드시 매학기 제공돼야 할 것이다.
예술교육의 당위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4가지 항목에 모두 나타나 있다. 특히 두 번째 항목인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과 세 번째 항목인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 되려면 예술교육은 필수적이다.
창의성을 개발하거나 문화적 소양을 쌓는 일은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몰아서 가르치는 방법으로는 이룰 수 없고,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할 때만 가능하다. 비록 우리나라 중등교육과정에 예술교육이 필수로 들어가 있어도 집중이수제를 실시하는 한은 창의성 개발이나 문화적 소양을 쌓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말이다. 이 또한 예술교육이 매학기 실시돼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불안정한 청소년기 심리에도 도움
주5일 수업제가 시행되면서 학교수업의 체육활동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서두에서 언급한 학교폭력에 대한 예방책의 하나가 아닌가 짐작된다. 다양한 신체운동이 청소년기의 넘치는 에너지를 발산하기에 적합하므로 체육교육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그렇지만 감성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예술 활동은 청소년의 불안전한 심리를 어루만져주므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서는 예술교육도 강조해 한 학기에 몰아서 실시할 것이 아니라 매학기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인간의 성장을 돕는 교육은 간헐적으로나 집약해서 한 번에 시행하는 것보다는 꾸준히 지속적으로 야금야금 실시해야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인지, 감성, 신체의 발달을 도모하는 학교교육에서도 이 세 영역을 다루는 교과목들을 골고루 연속적으로 개설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