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처음 도입된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본질은 무엇일까?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이라는 말 속에 제한된 인원에 맞는 '교사의 선발'이라는 결과적 측면이 담겨있다면, ‘교사’라는 단어에는 그 과정 속에서 궁극적으로 ‘좋은 교사됨’이라는 본질적 목적이 들어있다고 생각한다. 즉, 교사임용고사를 본다는 것은 단순히 수용인원 안에 포함돼야 한다는 결과론적 경주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준비과정 속에서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자질을 갖추어 진정한 교사가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교사임용시험은 무한경쟁을 통한 선별이라는 논리로 그 진정성을 잃어버린 채 계속해서 시행되고 있으며, 그 속에서 합격이라는 결과만을 향해 과정의 진정성은 망각한 채 하루하루 공부를 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을 발견하곤 한다. 이에 좋은 교사를 꿈꾸는 예비교사로서, 앞으로 교육자의 길을 걸어갈 교원의 한사람으로서 공부하는 과정 속에서 느낀 솔직한 심정과 이를 바탕으로 교사임용시험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4학년을 앞두고 마음이 맞는 친구들과 스터디 그룹을 결성해서 일주일에 세 번씩 교육학과 교육과정을 공부하고 있다. ‘임용합격’이라는 목표가 엔진이 된 것이기는 하지만 스터디를 시작한 이후로 대화의 화제가 확연히 달라졌다. 고전을 읽으면서도 어떠한 철학적 사상이 토대를 이루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교육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여러 교육학자의 견해에 대해 밤늦게까지 심도 있는 토론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각자가 좋아하는 학자와 사상이 생기고 나름의 ‘교육철학’도 가지게 됐다. 그동안 과제를 통해서만 파편적으로 봐왔던 교과서도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실제 수업을 위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차원에서 바라보게 됐다. 공부를 하며 느낀 분명한 것은 임용고사를 준비하면서 조금씩 교사로서의 ‘실존’을 찾아가고 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공부해야 할 분량이 너무 방대하고 시험 문제가 매해 다른 유형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조급함을 느끼게 되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어떤 시험에서든 피할 수 없는 문제이고 그 과정을 주체적으로 극복해 나가는 것 또한 교사로서 갖추어야할 자질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시험 제도상의 문제로 인해 갈피를 잡지 못하고 힘들 때가 있다.
1~2년 단위로 바뀌는 수시 개정 교육과정 체제하에서 공부해야 할 분량이 방대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매해 문제 유형이 달라져 스스로 공부해야 할 예비교사들이 어쩔 수 없이 사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제유형의 정형화와 표준평가지표 공개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고, 2~3차 시험문제 출제위원의 현장교사 비율을 좀 더 확대함으로써 문제의 현장성을 높이면 스스로 고민하며 공부한 수험생들이 더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차 교육학, 교육과정 시험 점수를 2·3차 시험에 반영하지 않는 교사임용시험 개선안은 매우 바람직하나 1차 합격비율을 만점의 40퍼센트 이상 득점자 중 2배수로 한정짓기 보다는 50퍼센트 이상 득점자 전원 등과 같이 절대기준으로 개선을 한다면 그 취지를 더욱 살릴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키워드 중심의 암기식 공부를 지양하기 위해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문제를 제시한다면 교사임용시험의 공부가 교사생활의 진정성을 찾는 중요한 과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학 비중을 줄이고 교육과정 비중을 높이겠다는 취지에는 동의하는 바이나, 교육전문성의 토대가 되는 교육학을 아예 폐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이외에도 3차의 면접과정 중 교사로서 인성·적성을 어떻게 가름할지에 대해서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