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교실제는 학생들이 꿈을 찾고 키우기에 좋은 제도입니다.”
지난달 26일 교과부 주최 ‘제3회 교과교실제 우수학교 사례 발표회’에서 대상을 수상한 대구 다사중(교장 박명호) 이현아(44·
사진) 교육연구부장은 교과교실제의 장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블록타임제와 함께 운영하니 다양한 실험, 게임 등을 체험할 기회가 늘어 학생들이 자신의 꿈과 진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먼저 기초학력부진학생을 위한 ‘두루 프로그램(Dream up! Level up!)’은 학습에 흥미가 없던 학생들에게 변화를 가져왔다. 학습부진 학생들의 방과 후 수업시간 중 상당부분을 보드게임, POP 등 학습동기 유발 프로그램으로 배정한 것이 주효했다.
“예절실을 만들어 예절 수업을 강화해서 그런지 학생들의 생활태도가 눈에 띄게 바뀌었어요. 낙서나 시설물 훼손도 줄어 학교도 깨끗해 졌답니다.”
이 부장은 “선진형 교과교실제학교 운영 11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이러한 변화가 가능했던 것은 ‘교사역량 강화’라는 목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과교실만 설치한다고 수업이 변하지는 않는다”며 “교과교실제의 성패 역시 ‘교사’에 달렸다”고 말했다.
“수업의 핵심 부분 10분을 촬영해 동료 교사들과 함께 모니터링 하는 ‘마이크로티칭’ 기법을 도입했어요. 문제점 지적보다는 칭찬 위주로 평가하다보니 서로 편안해져서 그런지 오히려 수업의 질이 향상되더라고요.”
“상을 받아 부담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이벤트가 아닌 ‘교과’가 중심이 되는 교과교실 기본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이 부장은 “영어가 하고 싶은 교실, 수학을 배우고 싶은 교실, 음식을 만들고 싶은 교실이라는 ‘색깔’이 분명한 교과교실제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우수학교로 수상한 학교는 ▲
대상 (선진형) 부산 광무여중, 대구 다사중, 충주예성여고 (과목중점형) 대전 신계중 ▲
최우수상 (선진형) 경남 거창중, 대전 대청중, 경북 신상중, 울산동여자중, 천안새샘중, 울산 효정중, 광주 광덕고, 전남 문태고, 충북 양청고, 인천 해송고 (과목중점형) 경기 늘푸른중, 영남삼육중 ▲
우수상 (선진형) 충북 주성중, 경기 청솔중, 인천 함박중, 전북 화산중, 경남 삼천포고, 경북 성주고 (과목중점형) 인천 간석여중, 서울 마장중, 대구 성당중, 제주 안덕중, 원주삼육중, 광양백운고, 김해삼문고, 대구 신명고, 경기 양지고, 전북 정읍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