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고용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하다

'교육을 위한 교육'도 가치가 있지만, '일자리와 연계된 교육'은 더욱 가치가 있다. 왜냐하면 일자리는 인간안보의 필요조건인 동시에 자아실현을 위한 충분조건이기 때문이다.

교육과 일자리를 연계하는 혁신적 직업교육 선도모델 대안으로 마이스터고 육성정책이 기획됐다. 마이스터고는 국가적 뿌리산업분야의 특화된 산업수요와 연계해 최고의 기술 중심 교육으로 예비 마이스터(young meister)를 양성하는 선(先)취업 후(後)진학의 선도학교 모델이다.

나는 마이스터고를 방문할 때마다 국가뿌리산업의 중추가 되겠다고 입학한 학생들의 초롱초롱 빛나는 얼굴에서 희망과 열정을 느꼈다. 2010년 3월 수도전기공고에서 열린 21개 공동 개교식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축사를 하는 모습을 보고 매우 기뻐하던 학부모와 학생들의 모습을 잊을 수 없다. '선취업 후진학'이라는 그들의 희망은 마이스터고가 국가 뿌리산업의 현장경쟁력 제고를 위한 직업교육의 선도모델 대안으로 정착돼야 가능하다.

최근 기업들이 고졸자에게 취업문을 열고, 정부가 공공기관에서 4년간 근무한 고졸자는 대졸자 대우를 해주겠다고 천명함으로써 고용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2010년에 개교한 마이스터고의 2학년 학생들이 졸업도 하기 전에 입도선매식으로 64%나 취업 약정이 되어 선풍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마이스터고가 직업교육의 선도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이스터고는 이명박 정부의 육성 정책에 힘입어 크게 발돋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차기 정부에서는 지원이 줄어들 수도 있으므로 마이스터고는 자생력을 길러야 한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질적 양적으로 충족시키고, 졸업생들의 진로 경로를 학교별로 정착시켜야 한다.

현재 마이스터고와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한 기업은 1295개(21개 학교당 평균 62개)이다. 협약된 기업의 20% 정도는 대기업이며, 80% 정도가 중견기업이다. 정부가 대학과 산학협력을 하는 기업에 주는 만큼의 혜택을 고등학교와 산학협력을 하는 기업에도 주어야 고등학교 단계의 산학협력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한국의 협약 기업들이 마이스터고와 함께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을 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학교중심 실습보다는 기업중심 실습이 더 효과적임을 감안할 때 기업중심 실습시간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는 산업체와 적극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직업교육 현장성을 높인 덴마크 교육부의 질적 관리체제를 통찰해야 한다. 덴마크는 중학교 졸업생의 48%가 직업계 고교에 진학해 전체 교육시간의 3분의 1을 산업현장에서 학습하는 도제훈련에 참여한다. 덴마크도 2003년 이전에는 고비용인 학교실습이 대부분이었으나, 산업계로부터 현장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은 후 중앙정부가 기업체 훈련 비중을 높이는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었다. 그 결과 직업계고등학생의 99.9%가 산업체 도제훈련에 참여하게 되었음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중앙정부 차원의 노력뿐만 아니라 교육청 차원의 노력도 중요하다. 노르웨이 수도인 오슬로 교육청 직업훈련부에서는 20명의 영역별 코디네이터가 지역의 기업체,직업교육훈련기관,직업교육훈련교사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현장 교육훈련을 관리하고 있다. 노르웨이에서는 국가교육과정의 틀을 짤 때 산업체 대표가 참여하고, 지역 단위에서는 교육과정 실행과 자격인정 과정에 지역 산업단체들이 관여한다. 특히 지역 단위에서는 교육청의 역할이 중요하다. 노르웨이는 한국처럼 개별 학교가 기업을 수소문해 현장실습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청 차원에서 도제훈련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명박 정부는 임기만료 이전에 마이스터고가 학교별로 미래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산학협력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한다. 그래야 다음 정부에서도 초롱초롱 빛나는 학생들의 희망과 열정이 계속될 수 있고, 아울러 국가뿌리산업의 경쟁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