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괄목상대(刮目相對)’, 이는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늘어, 눈을 비비고 다시 볼 만큼 달라진 사람을 일컫는 고사성어다. 우리 주변에는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잠시 일정 시간이 흐르고 예전의 내면적 모습과는 확 달라진 모습으로 “엄청 몰라보게 달라졌다”고 평가받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그 연유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궁금증과 호기심을 갖는 경우는 의당 클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결과를 유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괄목상대라는 어휘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여몽 장군의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한 마디로 여몽은 처음에 무식한 사람으로 여겨졌지만, 학문을 열심히 공부하고 실력이 많이 향상되자, 다른 사람들이 그의 변화에 놀라 눈을 비비고 다시 보았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잠시 그 서사 속으로 들어가 보자
삼국 시대 오나라의 왕 손권은 휘하 장군인 여몽과 장흠에게 독서를 권했다. 이때 여몽은 “군대가 참 잡무가 많아서 괴롭습니다. 책을 읽을 시간이 도무지 나지 않습니다”라고 하자 손권은 “내가 장군더러 학문을 연구하여 박사가 되라는 것이오? 책을 읽어서 옛날이야기라도 좀 알라는 것이라오. 장군이 바쁘기로서니 설마 나보다 바쁠까. (……) 두 장군은 총명하고 영리하니 책을 읽으면 수확이 있을 게 틀림없을 텐데 어찌 시도조차 않으시오?”라고 대꾸한 것으로 전해진다.
2023년 우리나라 성인 종합독서율은 43%에 이른다. 성인 10명 중 6명은 일 년에 책 한 권도 읽지 않는다는 의미다. 삼국지의 장군들처럼 이런저런 이유로 너무 바빠 책을 읽을 시간이 없다고 푸념 내지 하소연을 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이는 결국 핑계에 불과하다. 그 단적인 방증으로 하루 중 시간이 날 때마다 거의 대부분을 스마트폰에 코를 박고 눈에 섬광이 번쩍이도록 가까이 한다. 그래서 스마트폰을 오장칠부의 하나로 지칭하는지도 모른다. 물론 전자책(e-book)을 읽는 것도 무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서책을 읽는 행위의 누적이 자신의 생각의 폭을 넓혀주면서 성장과 발전에 이르게 하는 든든한 보험이 된다는 생각을 망각한다.
현실에서 개개인의 어려운 상황을 감안해 국가는 과거 세종 시대의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처럼 공무원들만이라도 대상으로 하여 시행을 고려해 볼만 하다. 사가독서는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다. 특히 세종은 국가의 지식확대와 전문가 양성을 위해 문신들에게 출근하지 않고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특별히 강조해 시행했던 것이다.
우리는 이제 일상에서 자투리 시간만이라도 아껴 책을 읽어도 후에 누적된 지식과 동반성장하는 지혜로 인해 괄목상대한 삶을 보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역하고 살아가는 것은 온갖 구실과 게으름으로 자신을 정체와 후퇴로 이끄는 어리석은 행위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젊어서 한때 성취한 시험능력주의의 결과에 입각하여 평생의 역량으로 평가하는 교육제도에 이제 강력한 제동을 걸 필요가 있다. 이는 최근에 우리교육이 낳은 최고 엘리트가 책보다 술을 더 가까이하여 결국 파산에 이른 단초를 제공한 것을 직접 목도하는 것에서 심히 경계하고 조심, 또 조심해야 할 일이다.
우리 모두가 변화를 꿈꾸며 상호 간에 눈을 비비고 바라보는 성장⋅발전을 위해 일로매진하고자 한다면 그 비결의 중심에 확고하게 똬리를 틀고 효능감을 절대 배반하지 않으며 생각의 폭을 넓혀주고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물을 길어 올릴 수 있게 하는 독서에 나설 때다. 이제 모든 독자가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친다.”는 안중근 의사의 말처럼 일상에서의 의지와 행동이 결집되어 슬기로운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 나길 기원하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