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3 (수)

  • 구름많음동두천 12.8℃
  • 흐림강릉 9.7℃
  • 구름많음서울 13.7℃
  • 흐림대전 14.5℃
  • 구름많음대구 13.7℃
  • 구름많음울산 12.4℃
  • 박무광주 15.9℃
  • 구름많음부산 15.0℃
  • 흐림고창 12.7℃
  • 흐림제주 14.2℃
  • 구름조금강화 13.5℃
  • 구름많음보은 14.1℃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6.3℃
  • 흐림경주시 11.9℃
  • 흐림거제 14.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교사의 열정과 실력이 우리 교육에 선순환 되길

언제부터인지 우리의 학교 교육은 공교육과 사교육이 병행하면서 마치 상호 간에 우월을 다투듯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혹자는 이를 부추기기라도 하듯 공교육의 틈새와 부실, 나아가 붕괴라는 용어를 동원하여 이 땅의 공교육에 대해 혹독한 비판과 평가를 내리곤 했다. 필자는 평생 공교육 현장을 묵묵히 지키면서 심한 모독감과 자존감의 상실을 버텨왔고 이에 저항하듯이 온 몸과 온 마음으로 수업 등 전문성 향상에 심혈을 기울였다. 학교의 관리자가 되어서는 교원 임용고시를 거쳐 학교에 임용된 교사들에게 공인의 자질과 품격을 유지하도록 격려와 응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교사들에 대한 수업 장학에 누구보다 적극성을 가지고 그들의 열정과 실력 향상을 목표로 했다. 성과는 학교별로 차이가 컸지만 의지만은 각별했다. 잠시 공교육 교사들의 실체를 상기해 본다. 1976년 필자가 고등학교에 입학했던 시절, 대전의 D고교는 5대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의 고교평준화로 인해 전국 최상위를 넘나드는 명문대 진학률을 기록하던 학교였다. 본관 건물 옥상 바로 아래에는 '전국 제패 학생 되고 끌어주는 스승 되자'는 슬로건이 학교의 위상을 대변하는 듯 했다. 입학 당시 선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