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오 전남 목포하당초 교장은 11일 마을축제에서 ‘하당어린이녹색장터’를 열었다. 직접 물건 가격을 정하고 학급별로 홍보·판매하는 과정을 통해 경제 의식과 이웃 간 나눔에 대해 배웠다. 이번 장터 활동으로 인한 수익금은 목포 MBC와 월드비전을 통해 불우이웃을 돕는데 쓰일 예정이다.
2013-10-17 20:53성태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11일 녹번동 분원에서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지원 정책 탐색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인성교육 지원 정책에 대한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그간의 연구결과를 공유하며 향후 교과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지원 방안의 방향을 모색했다.
2013-10-17 20:52박영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은 17일 중앙우체국 포스트타워에서 ‘학교 실천 사례로 본 직업체험 활동’을 주제로 ‘제3회 진로교육포럼’을 개최했다. 학교에서의 여러 직업체험 활동사례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의 현황 및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2013-10-17 20:52한숭희 서울대 교육연구소장은 16~18일 서울대 호암컨벤션센터에서 ‘모두를 위한 미래교육 디자인’을 주제로 ‘제14회 교육연구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미래교육 및 국제교육 협력 분야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미래교육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할 예정이다.
2013-10-17 20:51김은주 국립특수교육원장은 16~18일 전국 유치원 원장·감 및 유아담당 교육전문직 85명을 대상으로 장애이해 연수를 실시한다. 일반 유치원에 배치된 장애유아의 교육여건 개선 방안과 유치원 통합교육 운영 방안·교육환경지원 모델 등에 대해 논의했다.
2013-10-17 20:51“학교에서는 1년에 반 아이들 30명밖에 만날 수 없잖아요. 글의 힘으로, 방황하는 수많은 아이들의 인생관을 바로 잡아주고 싶습니다.” 최근 하영옥 경북 영주동부초 교사는 책을 읽으면서 메모한 좋은 글들을 모아 ‘daily growing up up up...." 책을 출간했다. 지난 35년 동안 독서하면서 좋은 말이 나올 때마다 틈틈이 메모한 노트가 어느새 7권에 이른다. 그는 “매일 아침마다 반 아이들에게 노트 속 이야기를 하나씩 들려줬는데 하루하루가 지날수록 아이들의 눈빛과 가치관이 달라지는 것을 경험했다”며 “더 많은 아이들, 더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감동을 전해 주고 싶어서 그 글들을 모아 책을 엮기로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하 교사의 결심에 가족 모두가 힘을 보탰다. 하 교사의 남편은 출판비를 지원해주기로 했고 전문번역사로 활동하고 있는 친오빠는 글을 영문으로 번역해 함께 실어 책을 보며 영어공부까지 할 수 있도록 했다. 미대에 재학 중인 딸은 책의 삽화를 담당했다. 책 표지를 장식하는 울창한 숲 사진은 하 교사의 솜씨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이뿐만이 아니다. 책 판매의 수익금은 전부 하 교사와 사업가인 남편이 운영하고 있는 ‘단비장학회
2013-10-17 20:43이배용 전 이화여대 총장은 8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취임식을 갖고 연구원 제16대 원장에 취임했다. 이 원장은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임기는 2016년 9월 17일까지 3년이다.
2013-10-10 20:00임승빈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창의인재 육성과 교육격차해소를 위한 스마트러닝 정책방향’을 주제로 ‘제3회 아시아경제 스마트러닝포럼’을 개최했다. 창조경제 시대 스마트러닝 정책을 검토하고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2013-10-10 20:00성태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4일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Speaking 200-영어 말하기 핵심표현 200’을 개발, 출시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200개의 표현과 수능 기출문장을 활용한 예문으로 구성돼 있다. PC버전은 english.kice.re.kr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며 모바일 버전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2013-10-10 19:58조삼섭 숙명여대 다문화통합연구소장은 11일 교내 백주년기념관 신한은행홀에서 ‘다문화사회와 이주자통합정책지표 분석’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주자통합정책지표는 한 사회의 다문화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이 지표를 우리나라에 적용해 나타난 결과를 발표하고 적합한 사회통합의 방향을 모색했다.
2013-10-10 1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