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분단 70년은 우리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줬다. 한국전쟁이라는 동족상쟁의 비극을 겪었으며, 지금도 무력충돌이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등 남북한의 갈등과 대립 상태는 지속되고 있다. 문화소재로서 쉽고 재미있게 이런 현실 속에서 학생들은 통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 지난해 통일부가 전국 초중고생 11만60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을 조사한 결과, 다행히도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53.5%)는 의견이 ‘불필요하다’(19.7%)는 의견을 압도했다. 그러나 초등생(71.1%)에 비해 중학생(54.2%), 고교생(47.8%)으로 올라갈수록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약해지는 건 우려되는 부분이다. 이는 통일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해 엇갈리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통일 이미지에 대해 평화·화합(34.2%), 이산가족(20.6%), 국가발전(강대국 등 9.7%)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생각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갈등(혼란 등 12.5%), 전쟁·군사(8.8%), 통일비용(6.3%) 등의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 있다. 통일의 긍정적 측면을 더욱 부각시키고 통일 이후의 사회에 대해 희망적인 미래상을 갖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북한에
통일은 경제적으로 막대한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대박’이라 할 수 있다. 지난 2010년 통계청이 발표한 북한의 광물 매장량은 무려 7000조원의 가치로 남한보다 24.1배나 많다. 북한은 마그네사이트 매장량이 세계 1위이며 금, 무연탄, 아연, 석회석, 갈탄 등의 매장량도 세계 10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적 투자회사 골드만삭스는 지난 2009년 점진적인 통일을 전제로 통일 후 30〜40년 후에는 한국의 GDP가 독일, 일본, 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이 돼 세계 5대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리라 예측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주 보고서에서 2015년 당장 통일을 이루면 1인당 GDP는 2030년 4만, 2040년 6만, 2050년 8만 달러로 치솟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통일은 상상 만해도 가슴 벅찬 꿈이자 대박이다. 이해·협력 없는 통일은 재앙 이런 가슴 벅찬 ‘통일의 결과’를 누리려면 ‘통일의 과정’을 준비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통일 준비는 남북한의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와 협력을 강화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남북한 간 적대와 불신, 대립 관계를 청산하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군사적 긴장관계를 해소하고 평화를 정착시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