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화 컨설팅․인프라 구축…유료사업 급증 국내 개혁성과 홍보 및 인적 네트워크 구축 주력 국내 교육관련 연구나 정책 개발 등의 활동에 머물던 정부 산하 교육유관기관들이 최근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제교류는 물론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컨설팅, 인프라 구축에까지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단순히 원조사업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수익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는 이들 기관들의 해외관련 사업은 한국교육의 새로운 시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2004년부터 ‘이러닝 세계화’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개발도상국 대상 교육정보화 지원 및 컨설팅, 이러닝 국제 행사 개최, 국제기구 및 선진국과의 교류 협력 등이 대표적이다. 이중 개발도상국 대상 교육정보화 지원 및 컨설팅 사업은 최근 유무상 대외 원조 사업인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규모가 확대되면서 정부와 기업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재구성 PC 지원, 개도국 교원 연수 지원, 대상국가 교육정보화 마스터플랜 수립 컨설팅 등의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21개국에 약 1만 5000여대의 재구성 PC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 계획에 따라 지난달 24일 176개 기관이 이전 지역이 발표됐다. 이에 따라 교육관련 10개 기관도 이전지역이 확정됐다. 옮겨가는 10개 기관은 4개 지역으로 분산 배치된다. 대구지역에 4개 기관이 이전, 가장 많은 인원이 옮겨가게 됐다. 교육인적자원연수원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이 내려간다. 충북에는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이전하고 충남에는 국립특수교육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청소년개발원이 자리를 옮긴다. 이밖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관리공단이 전남으로 내려간다. 구체적인 이전 지역은 연말까지 확정하게 된다. 기관이전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해당 기관들은 이전이 아직 많이 남아있는 탓에 특별한 언급은 피하고 있다. 유치단이 해당 기관을 방문하고 구체적인 지역과 이전 일정이 나와야 피부로 느끼게 되지 않겠느냐는 반응이다. 하지만 행정도시 주변지역 이전 기관과 그 외 기관 간에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전통적으로 ‘교육 도시’가 밀접한 충북지역으로 옮겨지는 데 대해 일단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예고된 지 이미 오래됐고 해당 지역도 이전을 원했던 교원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