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내 탓인 걸 얼마 전부터 책상 위에 작은 개미가 기어 다닙니다 어디서 나올까? 일주일도 더 살폈습니다. 오늘 찾았습니다. 하루에도 몇 잔씩 마시는 커피 쌓아놓은 종이컵 커피의 설탕이 그들을 불렀다는 걸 난 그 컵을 버릴 수 없습니다 내 게으름이 그들을 불렀기에 발발발 그 걸음으로 여기까지 오는 데는 얼마나 어려웠을까 코를 실룩거리며 “여기다” 소리 질렀을 그들 생각하면 종이컵을 버릴 수가 없습니다. 또 그들의 가족을 보는 족족 죽인 죄를 반성하며 오늘은 몇 방울 더 남겼습니다.
장마 끝나고 해도 없는 아침에 문주란이 피었습니다 날씨도 안 좋은데 더는 못 참는가 봅니다. 피우고 싶어서
광대들이 사람들의 발길을 잡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구경에 정신이 없습니다.
천사의 집 안 영 선 21살 엄마 따라 청주 교도소 안에 사는 가은이 처음부터 엄마 밥을 얻어먹어 매운 것도 잘 먹는다 최고의 간식은 삶은 계란이고 과자는 그림책에서 본 것뿐이다. 하루에 한 번 운동 시간에만 밖에 나갈 수 있고 밥 들어오는 문으로 세상을 본다. 열이 나도 병원에 갈 수 없고 응급 사항이 아니면 순회할 때까지 참고 의사를 기다려야 한다. 가은이 엄마는 어릴 때 부유하게 살았으나 부모가 이혼하고 입양이 되면서 낳아준 부모에, 키워진 부모에 두 번 버려져 중학교 때부터 보육원을 몰래 나와 굶기를 밥 먹듯 하고 노숙을 하며 그렇고 그런 친구들과 어울려 나쁜 일은 안 해 본 게 없단다. 남의 주민등록까지 위조하고 거짓말을 빼면 생활이 안 된다 임신이 된 것도 모르고 1년 6개월의 형을 받고 들어와 혼자서 가은이를 낳았다 정소향 이라는 이름에 가은이 엄마라는 또 다른 이름도 얻었다 대답 없는 편지를 오늘도 아빠에게 부치지만 편지 오는 시간마다 창을 봐도 가은이 아빠는 연락도 없다. 나에게 편지를 보내 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 올 곳도 없지만 기다리는 마음 2010년 크리스마스 전날 엄마는 가석방이 결정 되었다 가은이가 18개월 이상은 있을 수 없어
민족시인 이상화 시비가 대구 달성공원에 있습니다 .1948년에 만들어져 우리나라 최초의 시비입니다. 상화 시인의 둘째 아들이 아버지의 시를 초등학교 3학년 때 쓴 글씨로 만들어 졌습니다. 이 시비를 보려고 태풍 메아리가 올라오는데도 우산을 들고 갔습니다. 저 바다에 누워의 박혜수 시인에게 설명을 귀담아 듣고 있습니다.
2011년대구육상선수권대회가 8월 27일부터 9월 4일까지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립니다. 시민 모두가 자기의 맡은 일터에서 준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애를 써고 있습니다. 30도가 넘는 날씨에 아스팔트 위에서 도로를 포장 하고 있습니다. 얼음물을 벌컥벌컥 마셔가면서 이 분들에게 큰 박수를 보내며 대회가 성공적으로 끝나길 빌어봅니다.
비 오는 날 동무들은 모두 승용차 타고 오는데 보일러 고치는 기계가 실린 터럭을 됐다고 해도 아버지는 자꾸 타란다. 교문 멀리 내리는데 친구들 먼저 보고 창호 너 트럭 타고 학교 오니? 한영설비 사장이라고 했는데 아버지를, 아버지 회사 기사라고 했다 그래도 종석이가 안 본 게 천만다행이다 종석이 우리 집에 자주 놀러 와 다 아는데 아버지 얼굴도 알고 이름 한영도 알고 보일러 고치는 것도 알고 혼자 일하는 걸 알고 한영설비 사장이라 한 걸 종석이가 알면 선생님과 친구들 다 알 건 뻔한 일이고 교실은 한영설비 사장 이야기로 꽉 차겠지 이름이 한영 보일러 고치는 사장 맞잖아.
사람이 버린 걸 개미가 치웁니다. 개미가 못 치우는 건 비둘기도 치웁니다. 그래도 남은 것, 저건 누가 치우지요.
17일 대구신성초 5학년 어린이들이 물로켓을 만들어 발사 대회를 하였습니다. 2명이 한 조가 되어 목표물에 적중시키기 경기인데 과녁판이 운동장에 커게 그려 있어도 맞히기 어렵습니다. 2번 발사하여 접수를 합산하여 그팀의 점수로 등위를 내는데 우리팀이 2등을 하여 상을 받았습니다. 재미가 있어서 또 하고 싶습니다.
아기 금붕어가 엄마에게 물었습니다. 어머니, 하늘은 어떻게 생겼어요. 나도 안 가 봐서 모르겠는데. 여기 비친 것 이게 하늘 아닐까?
섬 숲에 사는 어미 오리가 알을 품어 5 마리의 새끼가 태어났습니다. 처음으로 해 보는 수영이지만 아기 오리는 찰방찰방 재미가 나나 봅니다. 이제 그만 놀고 들어가자고 해도 사람들 가까이로 가 봅니다. 아직 사진 못 찍었다고 하니 더 가까이 와 주었습니다.
봄날이라고는 하지만 수은주는 벌써 30도를 올라 있고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듯 후덥지근한 날이다. 막 출근을 하고 윗옷을 벗어 놓고 삽목해 둔 국화에 물을 주고 있는데 5학년 어린이가 숨을 몰아쉬며 헐레벌떡 뛰어 왔다. “선생님 참새가 죽어 갑니다.” “빨리 좀 살려 주십시오.” 살펴보던 보건 선생님 한참을 생각하더니 “거기 나무 밑에 두세요, 엄마가 와서 데리고 갈 수 있게요.” 어린이는 조심조심 캐나다 국기 모양을 한 양버즘나무 큰 잎을 하나 뚝 따서 깔고는 곱게 앉혀 봅니다. 참새는 힘이 빠져 또 쓰러집니다. 어린이는 앉히려고 하고 참새는 자꾸 쓰러지기를 여러 번 하고 있을 때 구경하는 어린이들도 자꾸 늘어갑니다. 보건 선생님 소리를 지릅니다. “빨리 교실에 안 들어가고 뭘 하고 있어.” 어린이들 교실로 들어가면서 자꾸 뒤를 돌아봅니다. “참새 엄마가 정말 데려 갈까?” “그런데, 어린 참새가 어떻게 해서 다쳤어?” “우리 골목에 도둑고양이가 한 마리 살고 있어서 고양이에게 물린 것 같기는 한데, 자세히는 모르겠어.” 등등의 여러 소리가 점점 멀어져 갔습니다. 1교시 공부가 끝나기가 바쁘게 그 반 어린이들이 몰려 나왔습니다. 한 반의 어린이들 모두 다
국립묘지에서도 돌비석에 305230 번호를 새기고 병장이란 계급을 달고 선임 후임 전우와 나란히 줄을 서서 나라를 걱정하는 소리 “충성, 충성, 충성” 죽어도 전역을 하지 못하고 동시입니다. 현충일을 맞아 이런 동시가 필요할 것 같아 올려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