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 다문화, 이제는 '감성'이다
얼마 전 제주도에서 열린 '2011년 다문화교육 시·도 교육전문가 워크숍'에 다녀왔다. 이 워크숍에서는 각 지역에서 선정된 다문화교육 우수학교 프로그램과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교육 정책 소개, 지역사회 기반 다문화교육에 관한 특강 등이 있었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여러 문제들은 이제 교육계의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되었고, 학교와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의 기관을 통해 전 사회적 차원에서 다문화 관련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사실 다문화와 관련된 여러 교육적 문제들은 2000년대 이전에는 거의 거론되지도 않았던 문제였다. 그러나 지난 10여 년 동안 우리사회의 인구구조 변화, 즉 취업이민, 결혼이민, 북한이탈주민 등의 점진적 증가로 인해 사회 구성원의 변화와 미래사회의 구성원이 될 다문화 자녀들의 사회적응을 충분히 도와줄 수 있는 교육 체계에 관해 여러 가지 이론들과 접근법들이 연구·수행되고 있다. 최근에 와서야 오랜 다문화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미국과 캐나다 같은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동화주의’, ‘다문화·다인종주의’ 등이 지향하고 있는 근본이념과 방향이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적합한지 여부 등이 연구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다문화교육
- 방금주 서울교대 다문화교육연구원장
- 2011-12-26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