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이 올라오면서 곳곳에 비 피해가 크다. 어제로서 후반기 보충 수업이 끝나긴 했지만 이러다간 나들이 한 번 가보지 못하고 사흘 얻은 휴가 마저 다 놓칠 것 같다. 그나마 하루는 일직으로 걸렸으니...... 이번 정류장은 오거립니다. 다음 정류장은 b동 고갭니다. 부산히 쓸리는 전망창 닦개 너머로 멀리 빗발 속 우산들이 승천을 기다리는 혼령들 형상으로 까마귀 떼처럼 모여 있다. 차 머리가 인도 쪽으로 꺾이자니 먼발치의 우산들이 진작에 서둘러 차도로 내려서며 밀치며 헤집으며 실랑이질에 앞자리 다툼한다. 빠듯이 들어차는 물생들. 일요일 아침에다 이 우중에 오늘 따라 웬 사람들인고? 그들이 묻혀 들이는 비릿한 빗물 냄새와 함께 차안이 후텁한 무덤 속이다. 정체된다 싶어 전망창 앞을 내다보았다. 두 마리의 두꺼비가 짝짓기 하듯 엉켜 있고, 그 옆에 반바지와 대머리가 빗줄기 속에서 상대의 멱살을 부여잡고 그들의 두꺼비처럼 엉켜 있다. 그 통에 한길이 온통 얹혀 버린 것이다. 어디다 손을 대요? 갑자기 찌르듯 삦어 나온 여자의 외마디, 드디어 숨가쁨의 뻐끔질이 시작되려나 보다. 이 아주머니가! 누가 손을 댔다는 거야! 되받아치는 사내의 지름소리에 이어 아저
당선입니다. 다 아는 얘기를 그저 서사로 꾸며 봤을 뿐인데 장원 급제라니, 귀를 의심하였다. 이번 작품 속에 들먹인 에피소드들은 대부분 실화를 윤색한 것으로 교사 생활을 하면서 겪은 것들로부터 유추된 유사연합 적인 것도 있다. 알다시피 빙산의 일각. 하지만 그처럼 어둡기만 한 것은 아니 잖은가. 평생 잊을 것 같지 않은 일이 하나 있다. 막 수업을 시작하려는 때였다. 목에 점액성 이물이 끼어 있었다. 폐강 속의 공기를 급속히 끌어내어 그것을 긁어냈다. 그 때였다. 코앞에 앉아 있던 녀석이 꺼내 놓은 연습지를 한 장 황급히 찢어 두 손을 모아 나에게 내밀었다. 그 행동은 장난기 어린 행위가 아니었다. 여기까지도 놀랄 일이지만 더욱 놀랄 일은 그 순간의 내 심경이었던 것이다. 그 뜻밖의 배려에 비복이 상전으로부터 숭늉 대접을 받은 것 같은 황공함이었다니...... 제자와 스승의 관계를 구매자와 판매자, 고객과 점주의 관계로 보면서 고객은 왕이라던가, 그것을 헌신적 자기 희생의 성직자연하여 마치 선진적 교육 철학인 양 착각하는 저간 일각의 그 자기 비하적 발상에 서글픔을 느낀다. 대접은 스스로가 만드는 법, 교육만은 권위주의적 바탕 위에서만 성취되는 것이다.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