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수능1등급 '4%' 맞나..실제 훨씬 많아

2등급 이하는 상위등급에 맞춰 들쭉날쭉

대학이 입시에서 최저지원자격기준 등으로 활용하는 수능성적 9등급제와 관련, 1등급 비율을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4%'로 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수험생이 1등급을 받는다.

등급간 경계점에 있는 동점자는 모두 상위 등급으로 인정하기 때문.

18일 평가원에 따르면 올해부터 수능 성적통지표에는 영역별.선택과목별로 표준점수, 백분위와 함께 1~9등급이 표시되며 2008학년도 입시부터는 표준점수나 백분위없이 오로지 등급만 9개로 나눠 표기된다.

표준점수의 상위 4%가 1등급, 4~11%가 2등급, 11~23%가 3등급, 23~40%가 4등급, 40~60%가 5등급, 60~77%가 6등급, 77~89%가 7등급, 89~96%가 8등급, 96~100% 즉 하위 4%가 9등급이다.

따라서 언어.외국어.수리영역 등 응시자가 많고 점수폭이 넓은데다 배점이 다양한 경우에는 대체로 1등급이 `4%'에 근접하지만 사회/과학/직업탐구나 제2외국어/한문영역처럼 점수 폭이 좁고 배점이 단순한 경우에는 1등급이 4%를 크게 상회하는 경우가 많다.

9월 모의수능에서 1등급을 받은 수험생은 언어 4.10%, 수리 `가'형 4.26%, 수리 `나'형 4.19%, 외국어 4.10%로 4%를 약간 웃돌았다.

그러나 사회탐구영역의 선택과목별 1등급은 윤리 5.31%, 국사 5.01%, 한국지리 8.73%, 세계지리 5.25%, 경제지리 5.26%, 한국근.현대사 7.17%, 세계사 13.48%, 법과 사회 5.88%, 정치 4.06%, 경제 6.72%, 사회.문화 4.46% 등으로 대부분 4%보다 훨씬 많았을 뿐 아니라 그 차이도 컸다.

과학탐구영역도 1등급의 비율이 물리Ⅰ 5.85%, 화학Ⅰ 4.81%, 생물Ⅰ 4.99%, 지구과학Ⅰ 4.97%,물리Ⅱ 8.74%, 화학Ⅱ 5.24%, 생물Ⅱ 4.91%, 지구과학Ⅱ 6.02% 등이었다.

직업탐구영역은 4.02(컴퓨터일반)~7.02%(디자인일반), 또 제2외국어/한문영역에서는 4.79(아랍어Ⅰ)~8.76%(일본어Ⅰ)가 각각 1등급을 받았다.

따라서 1등급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위 4%에서 11%까지 7%의 수험생이 받아야 할 2등급의 비율도 이에 맞춰 들쭉날쭉해진다.

9월 모의수능에서 2등급의 비율은 언어.수리.외국어가 7.33~8.45%로 엇비슷했지만 사회탐구의 경우 세계사는 1등급이 넘쳐 2등급이 `0%'였던 반면 국사는 13.36%가 2등급을 받았다.

과학탐구의 2등급 비율도 과목별로 3.78(물리Ⅱ)~10.68%(화학Ⅰ), 제2외국어/한문은 5.58(중국어Ⅰ)~11.89%(러시아어Ⅰ)로 제각각이었다.

지난 6월 모의수능에서도 9월 모의수능보다는 덜했지만 1등급의 비율이 최대 9%(일본어Ⅰ)까지 나왔다.

이영덕 대성학원 평가실장은 "현재로는 등급을 활용하는 대학이 수시2학기 모집에서 최저지원자격기준을 적용하는 50여개대에 불과해 별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2008학년도부터는 등급만 표기되기 때문에 난이도를 적절히 조절해야 수험생 혼란을 줄이고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