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소득수준이 높거나 학력이 높고 가정 내 문화생활이 풍요로울수록 자녀의 학업성적이 좋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지난 4월부터 5개월 간 전국 중학교 3학년생 2천명과 일반계.실업계 고교 3학년생 각각 2천명씩 6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구소득, 부모 학력, 가정 문화생활 등과 학생 성적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개발원은 학생들의 상적을 상위권 30%, 중위권 40%, 하위권 30%로 나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중학생의 경우 가구소득 300만원 이상이 성적 상위권에서 44.1%, 중위권에서 31.0%, 하위권에서 26.5%로 나타나 상위권이 중위권보다 13.1%포인트, 하위권보다 17.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일반계 고교에서도 성적과 가구소득 간의 상관관계가 확인됐으나 실업계 고교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부모 학력과 자녀 성적의 관련성 역시 중학생에서는 아버지 학력이 4년제 대학 이상인 경우가 상위권에서 37.6%, 중위권에서 25.7%, 하위권에서 15.8%로 나타났다.
어머니 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직업능력개발원은 "실업계 고교의 경우 가구소득과 마찬가지로 학력과 성적 간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중학교 성적에 따라 일반계와 실업계 고교로 진로가 나뉘는 상황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도서 보유나 영화.연극.뮤지컬 관람 등 가정 내 문화환경의 차이도 자녀 성적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발원은 중학생의 경우 가정 내 도사 보유권수가 300권 이상인 경우가 상위권에서 24.4%, 중위권에서 12.5%, 하위권에서 6.8%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와 반대로 영화나 연극, 뮤지컬 관람 등 문화생활이 없는 가구의 비율이 상위권에서 38.5%, 중위권에서 51.0%, 하위권에서 58.6%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중학교와 일반계.실업계 고교 모두 사교육을 받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적이 높았고, 학생들이 방과 후 집에 갔을 때 어머니가 집에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성적이 우수했다.
이외에 성적이 좋은 자녀를 둔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평준화를 반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개발원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