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칼럼] 낭독이 있는 풍경

아버지는 시골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사셨다. 어머니는 그런 아버 지와 1949년에 결혼했다. 두 분은 51년을 해로(偕老)하셨다. 가난했지만 두 분은 사이가 좋으셨다. 늦잠이 허락되는 일요일 아침이나 긴긴 겨울밤 이부자리에 들었을 때, 어머니는 당신이 읽은 소설 이야기를 아버지께 해 드리곤 했다. 가난하던 시절 텔레비전은 아예 없었고 라디오는 귀해서 구경하기도 힘든 때이었다.


우리가 살았던 시골 학교 사택은 궁색했다. 서로 트여진 방 두 칸에 부모님과 우리 사형제, 모두 여섯 식구가 함께 기거하였기에 어머니가 아버지께 해주는 이야기는 초등학생인 내게도 들릴 때가 있었다.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해 드리는 이야기는 참으로 여러 가지이었다. 대중잡지 <야담과 실화> 등에서 읽은, 단종이나 장희빈 등 옛날 야사(野史) 이야기가 있는가 하면, 맥베스나 리어왕 이야기도 있었다. 대학생인 외삼촌이 놓고 간 문고판 버전(그 책은 우리 집에 오래 남아 있었다) 의 셰익스피어 이야기들도 있었다.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가장 열심히 들려주었던 이야기는 당시 한국일보에 연재되었던 한운사 선생의 <현해탄은 말이 없다> 라는 소설이었다. 어머니는 마치 일일연 속극처럼 이 신문연재소설 이야기를 해 주었는데, 더러는 아버지께 직접 읽어주 시기도 했다.


아버지가 세상을 뜨시고 어머니는 한참을 힘들어하셨다. 바깥출입이라고는 거의 없으셨던 어머니는 아버지가 떠나시자 마음과 몸이 모두 적막강산(寂寞 江山)에 드신 듯했다. 우울해하시는 것 같기도 했다. 어머니를 그 적막강산에서 빼내어 오기 위해서 나는 궁리를 했다. 나는 어머니께 각종 공책과 각종 원고지 와 각종 용지를 가득 사서 드렸다. 그리 고 연필, 볼펜, 샤프 펜, 심지어 만년필까지 온갖 필기도구 50여 종을 함께 갖다 드렸다. 그리고는 어머니께 지금까지 살아오신 사연과 겪은 일들을 글로 쓰시기를 간청했다. 쓰시기만 하면 책으로 내 어드리겠다고 약속을 했다. 어머니의 글쓰기 동기를 북돋아드린 것이다. 어머니는 1년 남짓 글쓰기에 매달리셨다. 그래서 어머니는 산문집 하나를 내셨다. 그것이 어머니가 73세 때이던 2002년이었다.


그로부터 세월이 많이 흘렀다. 그간 어머니는 두 번의 큰 수술을 하였다. 이제는 고령이고 노쇠하셨다. 움직임도 여의치 않으시다. 이런저런 병고들을 감당하며 요양병원에서 투병을 하신다. 어머니의 병원은 집에서 버스로 세 정거장이다. 병상의 어머니를 뵙노라면, 어머니가 살아 오신 생애가 한순간에 스쳐간다. 어머니는 그 시간을 어떻게 응시하고 계실까. 어머니 병상 옆에는 어머니가 쓰신 책이 놓여 있다.


나는 오늘도 어머니의 병원에서 어머니의 글을 읽어드린다. 병실에서 오늘 내가 읽어드린 글은 어머니의 처녀 시절 이야기이다. 어머니는 사라진 전통문화의 관혼상제(冠婚喪祭) 풍속들을 기억으로 복원하여 써 두었는데, 그중 에서도 수의(壽衣) 만들기 풍속을 적어 둔 대목을 읽어드린다. 그러나 이 대목을 딱히 수의 이야기라고만 할 수도 없다. 그 수의 이야기는 동시에 어머니가 스무 살에 시집오던 날 혼인 예식에 입었던 원삼 (圓衫 : 비단이나 명주로 지은 부녀 예복 의 하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이전에 건강하실 때도 이 대목을 자주 상 기하시곤 했었다. 다음은 오늘 내가 낭독해 드린 대목이다.


“지금은 수의(壽衣)를 사서 마련하지만 내가 어렸을 때는 집안에서 직접 수의를 만들었다. 윤년이 들고 윤달이 드는 달에, 연 만한 부모님이 계시는 집에서는 수의를 장만해야 한다. 부모님께서 환갑이 넘으면 형편대로 부잣집에서는 비단으로도 수의를 하고 누에를 쳐서 명주로도 한다. 삼베로 하는 사람도 있다.


수의를 만들 때는 대소가(大小家)의 아주머니들이 날을 잡아서 모두 모이면 그중에서도 연세 많은 분의 지시대로 재단을 한다. 수의의 재단은 아무나 하지 못한다. 재단을 잘 할 줄 아는 분이 마을에 몇 분 계신다. 수의는 가짓수도 많고 바느질도 어렵다. 재봉틀로 박는 사람도 있고 손으로 꿰매고 인두로 누르면서, 네댓 명이 둘러앉아 꼬박 삼 일을 한다.


바느질하시는 분들의 식사는 일품요리다. 부모님의 수의를 만들어 주시는 분들에게 대접을 소홀히 하면 안 되기 때문이다. 지금은 그냥 하얗게 만들지만 옛날에는 시집가는 신부의 예복 차림과 꼭 같이했다. 우리 할머니의 수의도 그렇게 절차를 밟아서 정성을 다해서 만드셨다. 특히 맨 위에 입으시는 원삼(圓衫)은 곱게 물들여서 결혼식에 신부가 입을 수 있도록 한층 곱게 만들었다. 옛말에 할머니께서 입으실 원삼을 손녀가 입고 결혼식을 올리면 시집가서 귀하게 되고 부귀다남(富貴多男)한다고 했다.


나는 결혼식 날에 그 화려한 원삼을 입고 결혼식을 올렸다. 머리에는 족두리가 아닌 오색 구슬이 영롱한 화관을 쓰고, 금빛도 찬란한 용잠(龍簪)을 꽂고, 금박을 놓은 붉고 까만 공단 댕기를 앞뒤로 길게 늘어뜨리면서, 화려한 원삼을 선녀같이 차려입고 수모(手母 : 전통 혼례 때 신부의 단장 및 예절에 관련된 일 따위를 곁에서 거들어 주는 여자)들의 인도를 받으면서 초례청에 사뿐히 올라섰다. 예법을 지킨다고 나는 꼬박 일 년을 친정에서 묵고 시집을 왔다.”

(이숙영, <돌아보면 뉘 부르는 소리 있어> 중에서)


어머니는 지금 거동이 어려우시다. 치 매도 상당히 진행되신 상태이다. 침상에 누워서 표정 없이 눈을 감고 들으신다. 무슨 생각을 하시는 걸까. 나는 낭독해 드리는 중간에 더러 어머니를 불러 깨워, 짐짓 몰라서 그러는 것처럼, 묻는다. “어머니 시집올 때 몇 살이었어요?”, “어머니 우리 외갓집 그때는 잘 살았나 봐요?” 어머니는 답이 없다. 그러나 이렇게라도 해야 어머니를 낭독 안으로 들어오게 하여 들으시게 할 것 같다. “혼례 때 입었던 원삼은 나중에 어머니의 할머니 돌아가셨을 때 수의로 사용했나요?” 이 물음에는 고개를 끄덕이신다. 그 고개 끄덕임이 반갑다. 내가 다시 읽으며 크게 묻는다. “어머니 결혼 초례청에 섰을 때 기분이 좋았어요?” 이 대목에서 어머니는 감았던 눈을 뜨고 나를 보신다. 나는 읽어나가다가 다시 묻는다. “어머니 그때 참 이쁘셨지요?” 어머니가 가느단 소리로 답하신다. “그래!”


‘글을 쓴다는 것’, 그리고 ‘글을 읽는다는 것’, 이것들은 생애 전체를 통해서 우리에게 어떤 존재론적 의미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이만한 것이 있을까. 그간에는 그저 무심하게 생각했었다. 읽고 쓰는 것을 일상에서 반복되는 가벼운 기능(技能)으로만 생각했었다. 그런데 오늘은 자못 깊은 의미가 길어져 올라온다. ‘글을 읽는다는 것’과 ‘글을 쓴다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무언가 의미 있는 인과(因果)의 생애를 쌓아가게 만드는 ‘숨은 힘’ 이 있는 것 같다.


나는 계속해서 어머니께 글을 읽어드린다. 내가 낭독을 하지만 나 또한 이 글의 가장 ‘적극적인 청자(active listener)’ 이다. 나는 전에 어머니의 책을 읽었지만 오늘 같은 감흥과 애틋함으로 읽지는 못했다. 나는 읽으면서 어머니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셈이다. 갑자기 주변이 조용해 지는 듯해서 책을 읽다 말고 돌아본다. 병실에 있는 다른 두 분의 환자가 열심히 경청하고 있다. 할머니가 쓴 글이냐며 들어보니 재미있다고 말한다. 그사이 내 등 뒤 마루 쪽에서 누군가 말한다. “조금 크게 읽어 주세요. 여기까지 들리게.” 돌아보니 간병인 여직원들이다.


학교가 가르치는 교육의 중심된 활동은 읽기와 쓰기이다. 어떤 교과목에서이든 읽기와 쓰기는 일상으로 이루어진다.‘읽고 쓰는 일’의 그윽한 구경(究竟)의 경지는 가도 가도 무한이다. 존재를 실현하는 일이, 존재를 공유하는 일이, 읽기와 쓰기의 영토에서 숙성한다. 병실을 나오는데 평소 친숙한 간병인 황 여사가 내게 말한다.


“제가 할머니께 저 책을 읽어드려도 괜찮겠지요? 교수님 못 오실 때 말입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