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향기로 오고 가을은 소리로 온다’고 했던가. 담장 옆 여물어가는 대봉감이 제법 살이 통통한데 툭 떨어지며 구월이 오는 소리를 낸다. 아쉽게 떨어진 감은 늦더위에 농익어 가고 있다. 팔월 장마가 물러가도 폭염의 기세는 좀처럼 수그러들 줄 모르고 후텁지근한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여름이 가기 전에 사랑을 이루고픈 매미들의 애절한 떼창이 후끈한 열기를 더한다.
9월 초입을 앞두고 조용히 눈을 감는다. 바람 소리에 귀 기울이며 가을의 전언을 더듬는다. 눈을 감으면 귀가 열리고 바람에 실려 오는 다양한 가을 징후를 읽을 수 있다. 가을은 여름이 타다가 만 소리로 그 흔적을 길게 끌며 온다. 귀뚜라미 울음소리, 바람 타는 나뭇잎의 찰랑거림, 풋감 떨어지는 소리, 억새들의 서걱이는 소리. 눈을 뜨고 있을 땐 미처 듣지 못했던 다양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바람은 보이지 않으므로 계절을 가리지 않는다. 그럼에도 계절의 변화를 잘 빠르게 전하는 것은 바람이다. 8월 말 무더위 속에서도 바람은 조금씩 미세한 변화를 보이며 우리에게 가을을 예감하게 한다.
운동 삼아 걷는 저녁 산책길, 어제 바람이 다르고 오늘 바람이 다르다. 무어라 딱 꼬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다르다는 것은 부인할 수가 없다. 그 미묘한 차이는 여름과 가을이 자리바꿈을 시작했다는 징표다. 아직 9월이 문을 활짝 열어 젖히지 않았지만, 변화를 꿈꾸며 마음의 소리를 들어본다.
지난봄부터 미움의 싹이 돋았다면 설익어 미덥지 못한 열매는 이 가을에 따지 않아야 한다. 여름부터 질투가 뿌리를 내렸다면 단맛의 열매라 할지라도 9월에는 바람이 거두어 가게 해야 안다. 오해와 단절로 끊어진 끄나풀은 은혜로운 끈으로, 이해와 배려로 묶어 쓸쓸하게 등 돌린 자리마다 돌아앉아 마주 보게 해야 한다. 이게 가을의 소리다.
그동안 얼마나 아파왔던가. 안으로의 동통은 아직도 여운을 끌며 갈등과 분열, 서슬 퍼런 언어의 외침으로 섬뜩섬뜩한 일상이 계속되고 있다. 밖으로는 자국의 이익을 앞세운 전쟁과 관세 문제로 빨간불이 켜지고 그 여파는 안으로 들어와 곤란의 번식을 시작한다. 그리고 우리의 일상은 뉴스와 각종 SNS에 개성을 잃고 함몰하고 있다. 이렇게 잃어버린 우리를 다시 찾아야 할 즈음이 이 가을이 던지는 과제이다. 그러려면 참 자아가 외치는 변화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우리는 자연의 변화를 보면서 깨달음을 얼마나 얻고 있을까? 말로는 변화를 꾀한다고 하지만 정작 이익 앞에선 감정이 앞장서고 양심과 도리와의 단절도 마다하지 않는 게 자신이다.
문득 중국 당나라 때의 영천세이(潁川洗耳)라는 고사를 떠올려 본다. 옛날 군주인 요가 가만히 생각해 보니 만백성을 위해서 자기보다 덕이 많은 허유를 왕으로 추대하고자 영천으로 신선인 허유를 찾아간다. 그리고 그에게 천하를 양도하려는 뜻을 전하는데 갑자기 허유는 더러운 얘기를 들어 귀를 버렸다 하여 영천이라는 개울에 귀를 씻는다. 그러다 요와 헤어져 집으로 돌아가는데 마침 영천의 하류에서 소에게 물을 먹이는 소보를 만난다. 소보 역시 허유와 같은 신선이다. 허유는 친구인 소보에게 조금 전의 일을 전하자, 소보는 물을 마시는 소의 고삐를 당겨 소로 하여금 물을 마시지 못하게 하였다. 이유는 허유가 더러운 말을 들었다고 귀 씻은 물을 소가 마시지 못하게 함이었다. 이 고사를 두고 영천세이, 즉 영수라는 물에서 허유가 귀를 씻었다는 뜻으로 회자한다. 물론 어이없는 말이다. 그러나 요즘 사람들을 보노라면 이 전설 같은 우화가 그립다. 물질만능의 시대, 돈과 힘과 권세가 명예를 앞서는 시대다. 순간을 살다가는 인생이 온갖 탐욕을 부리는 것을 보노라면 인간인 것이 부끄럽다.
지난 1969년 7월에 착륙한 닐 암스트롱은 조그맣고 파랗게 빛나는 우리별 지구를 보면서 데탕트를 떠 올렸다 한다. 저 손바닥만큼 작은 별에서 이념을 얘기하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를 두고 피나게 싸우는 사람들이 얼마나 가소로웠을까? 더욱이 그 손바닥만 한 지구의 한 귀퉁이 한반도의 그 절반도 안 되는 땅에서 서로의 이권을 위해 도덕도 양심도 하루아침에 버리는 사람을 보면 한탄스러울 뿐이다. 대개 인간의 욕심은 언제나 양심 위에 있다. 그래도 세상이 유지되는 것은 바닷물이 썩지 않은 이유가 3% 소금인 것처럼 그중에 양심 있는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꽃길만 걷는 삶을 바라는 것은 모두의 바람이다. 하지만 이기심을 놓지 않으면 그 길은 찾을 수 없다. 이제 가을이 오고 있다. 박노해의 ‘가을 소리’를 더듬어 본다. 시인이 말하는 가을 소리는 무엇일까?
“가을은 투명해가는 백합나무 앞에서 온다/ 살며시 고개 숙인 들녘의 벼에게서 온다/ 마당가에 빨갛게 말라가는 고추에서 오고/ 서로 어깨를 기대인 참깨 다발에서 오고/ 조금씩 높아지고 맑아지는 하늘빛에서 온다// 무성한 잎사귀 사이로 얼굴을 드러내며/ 붉은 볼로 빛나는 대추알과 사과알에서 온다/ 봉숭아 꽃씨 매발톱꽃씨 그 작은 씨앗들이/ 토옥 톡 멀리 퍼져 흙 속을 파고드는/ 소리 없는 희망의 분투에서 온다”
시인은 ‘가을이 오는 소리는 고요해진 내 마음에 울려오는 가을 소리’라고 말하고 있다.
가을 소리, 정작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변덕과 시기, 헐뜯음이 아닌 계절이 들려주는 소리에 귀 기울이며 자연에 순응하며 사람의 도리를 들어보는 것이다. 문을 비집는 9월, 가을 소리에 물러나는 더위를 보며 욕심과 이기심을 덜어내어 하나의 마음을 모은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래도 안 되면 숲속 바위에 앉아 스치는 가을바람을 맞으며 자신의 심연에 거울을 비추어 보면 어떨까? 이제 반목과 질시를 날려 보내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