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각장애인 김경민 서울 인왕중학교 교사

2010년 3월 인왕중학교의 신학기가 시작되던 날, 학교 앞은 난데없는 취재기자들의 취재열기로 뜨거웠다. ‘미담’이라는 안내견의 도움을 받아 강당에 오르는 신입 교사, 시각장애인으로 일반 학교에 발령 난 김경민 영어교사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다.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가르칠까’하는 우려에서부터 ‘힘든 여건을 잘 극복해낸 아이들의 귀감’이 될 것이란 응원까지, 그를 바라보는 제각각의 시선을 뒤로한 채 어느덧 교직 3년차에 들어섰다. 이제 세 번째 맞이하는 신학기를 앞두고 수업 준비에 여념 없는 김경민 교사를 그의 집에서 만나보았다.


시각장애인, 교단에 서다

말도 잘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던 아이는 선천성 녹내장을 가지고 있었다. 어린 나이에 스물여섯 차례나 되는 수술을 받았지만 결국은 초등학교 6학년 때 시력을 잃고 말았다. 맹학교에 다니며 공부를 계속했고, 눈 대신 손이나 귀로 세상을 보는 법을 배워야 했다. 남들과는 다를, 자신의 머릿속으로만 그려보는 온통 까만 세상 속에서도 교사가 되고 싶다던 어릴 적 꿈을 버리지 않던 그는 2010년 당당히 임용고시에 합격하고 서울 인왕중학교에 발령받았다.
“사실 운이 좋았어요. 제가 대학에 입학하던 해인 2007년에 장애인 전형이 새로 생겼거든요. 장애인이라고 일반학교 교사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해 본 적은 없어요. 하지만 그 때 생긴 전형이 아니었다면 이렇게 일찍 교사가 될 수 있었을지는 모르는 일이죠.”
김경민 교사 주변의 사람들은 그가 좀 더 안전하고 닦여진 길을 가기를 원했다. 앞이 보이지 않는 김 교사가 많은 학생들 앞에 섰을 때, 혹은 일반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받을지도 모르는 상처를 먼저 걱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우였는지, 김 교사는 오히려 학교에 나가면서 밝아졌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고 한다. 김 교사를 걱정하던 가족과 친구들은 현재 그의 가장 큰 버팀목이자 조력자이다. 새로운 교과서를 받으면 밤늦게까지 타이핑을 해 점자로 변환해 주기도 하고, 또 김 교사가 필요로 하는 자료가 있을 때는 함께 찾아봐주기도 한다. 그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혼자 수업 준비를 하는데도 다른 교사보다 두 배, 세 배의 시간이 걸리지만 김 교사는 힘들지 않다고 말한다. 그저 또 새롭게 시작될 신학기가 기다려질 뿐이다.

“선생님, 정말 안보이세요?”
학년 초 학생들로부터 가장 많이 받은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정말 안보이세요?”였다. 그저 순수한 호기심에서 물어보는 아이들이 대부분이다. “내가 누구게요?”하고 눈앞에서 묻기도 한단다. 이러한 관심도 자신을 알아봐주기 바라는 학생들의 마음에서 시작되는 것이기에, 김 교사가 학년 초에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은 바로 학생들의 목소리를 외우는 일이다. 그는 목소리로 사람들을 구분해내고 목소리로 수업의 분위기를 파악한다.
“학생들이 정말 많이 신기하게 여기는데, 생각보다 귀로 알 수 있는 정보들이 많아요. 목소리만 들어도, 이 아이가 숙제를 제대로 해 왔는지 친구의 책을 보고 답을 말하는 건지 알 수가 있어요. 발표를 잘하던 학생이 오늘따라 말이 없으면 기분이 좋지 않니, 물어보기도 하죠. 그래서 제 수업엔 항상 대화가 많아요.”
그의 머릿속에는 항상 교실이 그려져 있다. 자리 배치가 어떻게 되어 있고, 어느 자리에 어떤 학생이 앉아있고 그 학생의 목소리는 어떠한지, 볼 수 없기에 더 선명하게 그려놓아야 하는지도 모른다.
대화가 많고, 학생들의 반응을 잘 파악해서일까, 학생들도 김 교사의 수업을 좋아한다. 학부모의 항의가 들어오진 않을까 걱정했던 것도 잠시, 김 교사가 전담하고 있는 영어교과교실을 ‘고향’이라고 부르며 따르는 학생들도 있다. 특히 학기 초엔 반응도 별로 없고, 수업에 관심도 없던 학생들이 언제부턴가 목소리를 내고 수업에 참여하고 있을 때, 먼저 질문하며 적극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느껴질 때면 무엇보다도 큰 뿌듯함이 느껴진다.

마음을 열면 다르지 않아요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가장 힘든 점은 역시 보이지 않는 데서 온다. 학생의 잘못을 지적하며 “하지마”라고 따끔하게 말했을 때, “저 안했는데요”하고 대답하면 그는 할 말이 없다고 한다.
“처음부터 제가 보이지 않는 것을 이용하려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알아요. 하지만 그럴 때 많이 어려움을 느끼죠. 그래서 생활지도가 제일 힘들어요. 학생들을 눈빛으로 제압하는 것도 안 되고, 제가 할 수 있는 건 말하는 것뿐인데 그것마저도 바로 바로 지적할 수 없을 때가 있으니까요.”
김 교사를 힘들게 하는 것은 또 있다. 장애인 학생들을 대하는 다른 학생들의 태도가 바로 그것이다. 김 교사에겐 깍듯하게 인사하던 아이들이, 같은 반 장애인 학생들에게는 태도가 달라지는 것을 볼 때 그는 본인이 직접 상처를 받았을 때보다도 더 큰 슬픔을 느낀다.
“중·고등학교 시절에 그런 갈등이나 상처가 없기는 힘들겠죠. 저를 비롯한 많은 장애인들이 그래왔듯이, 어느 정도는 감당해야 하겠지만 그래도 마음은 아파요.”
주의를 줘도 돌아서면 또 비슷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통합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일단 분리되어 있으면 있을수록 선입견과 편견은 더 커지기 때문이다. 가까이에서 보고 함께 생활할 때, 착오는 겪을지언정 서로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것은 그의 학교생활에서도 다르지 않다. 그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동료 교사들에게 먼저 마음을 열어 보이며 당신과 내가 다르지 않음을 알린다. “앞으로 장애인들의 사회 진출은 더 많아질 거예요. 어려워하지 마시고, 차라리 물어봐 주세요.” 장애인을 어떻게 대하면 좋을지 모르겠다며 자신을 어려워하는 일부 사람들을 향해 그는 말한다.

더 많은 도전을 향한 준비와 각오
맹학교를 나온 김경민 교사 주변에는 세상에 나갈 또 다른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를 보고 용기를 얻지 않았냐는 말에 질투만 얻었다고 너스레를 떨며 웃는다.
“제가 조금 빨리 된 경우죠. 공무원 준비를 하는 사람도, 저처럼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사람도 있어요. 그런데 우리들은 무슨 일을 하더라도 남들보다 어려울 수밖에 없거든요. 힘들 것이란 각오를 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해요.”
김 교사는 오히려 마음먹고 시작하면 걱정한 만큼 힘들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본인이 가고자 하는 길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을 주변에 만들어 놓는 것도 필요하다. 그도 교사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알고는 있었지만 막상 그 자리에 서보니 그 전엔 몰랐던 부분들이 있었다며, 특히 남들보다 두세 배의 노력이 요구되기에 많이 물어보고 찾아보며 실전이 어떤지, 나에게 맞는지 알아놓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했다.
“저는 일단 수업을 더 잘하고 싶어요. 그리고 욕심나는 것은 담임. 하지만 함부로 하겠다고 말씀드리기도 어려운 부분인 걸 알아요.”
현재 김 교사는 수업 외에 보직을 맡은 것이 없다. 수업 외 업무를 혼자 소화해내기 쉽지 않은 탓에 동료 교사들이 업무를 나누고 대신 김 교사는 수업시수를 많이 배정받는 편이라고 한다. 하지만 교내 영자신문을 만드는 일을 맡는 등, 김 교사는 조금씩 자신의 업무 범위를 넓혀나가고 있다. 아직은 교직생활 초기단계의 김경민 교사, 쉽진 않겠지만 그는 앞으로도 더 많은 도전을 할 준비와 각오가 되어 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