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와 논어의 오해와 편견에 도전하는 책, <논어는 진보다>

고백하건대, 단 한 번도 처음부터 끝까지 논어를 읽었다거나 가슴 속에 새겨놓았다거나 하지 못했습니다. 당연히 타인에게 읊어줄만한 구절을 외운다거나 오류없이 써내려갈 수도 없겠지요. 굳이 변명을 하자면, 고리타분한 유교의 시조인 공자가 그리 흥미를 끌지도, 식자들이 흔히 한 번씩 인용하는 논어의 가르침이 그다지 매력적이지도 않았습니다. 한자들의 향연에 주눅 든 탓도 한몫 했겠지요.
그런데 이 사람, 도발적인 발언으로 등을 잡아챕니다.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공자라니요? 점잖게 우리를 타이르던 그동안의 논어가, 2500년간 이어진 텍스트의 해석에 문제가 있었다고 합니다. 슬며시 여성과 노동을 낮은 자리에 두었던 공자, 충효의 속박에서 우리를 움직이지 못하게 했던 그가 사실 잘못 이해된 것이라니요. 슬슬 흥미가 끓어오르는군요.
저자는 반쪽짜리가 되어버린 논어번역의 가장 문제점은 논어를 철학서가 아닌 잠언집으로 만들어 버린 점이라고 꼬집습니다.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식의 해석이 되어버렸다는 것이지요. 사실 역사적 배경과 무관한 텍스트란 존재하지 않으며 논어도 그 텍스트이기는 마찬가지겠지요.
저자는 이민족에 대한 차별이라는 중화사상에서 한 발도 떨어지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 ‘팔일’편 5장이나 부모에 대한 무조건 복종으로 읽혀져 버린 ‘위정’편 5장, 여자와 하층민을 천시한 것으로 오해된 ‘양화’편 25장 등을 다시 해석해 보여줍니다.
“공자는 이민족을 멸시하기는커녕 덕치의 위력은 오랑캐의 나라에서도 문명국 못지않은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공자는 어기지 말아야 할 것이 ‘부모의 뜻’이 아니라 ‘부모에 대한 예’라고 말하고 있다.”
“여자와 하층민이 모자라 가르치기 힘들다는 것이 아니라 생존에 허덕이며 문화적 세례를 받지 못한 이들의 힘든 현실적 상황을 토로한 것이다.”공자를 처세술의 귀재로 바꿔버린 최근의 오역들도 비판합니다.
공자의 제자인 子張의 물음에 “많이 보아 위태로운 것은 제쳐놓고 나머지를 신중히 행하면 후회가 적을 것이다.”라는 공자의 답은 자칫 안전하게 벼슬하는 방법으로 둔갑하기도 한다. 제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공자의 의도를 이해하지 않고 벌어지는 오역임 셈이다. 이밖에도 공자는 보수주의자가 아니라는 것, 권위적이지 않았다는 것, 공자가 말하는 예는 윗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 국가주의자가 아니라는 것, 가족주의를 설파하지 않았다는 것 등을 들어 이런 편견들이 공자 사상의 ‘깊이’를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교언영색(巧言令色),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학즉불고(學則不固), 온고이지신(溫古而知新) 등 우리에게 익숙한 글귀들의 새로운 해석도 만날 수 있습니다. 당대의 상황과 한자의 섬세한 뉘앙스 차이를 듣고 보니 공자의 사상이 또 다르게 다가오는군요.
저자는 “종이를 둘둘 말아 10년을 두었다가 평평하게 펼쳐 놓으려면 다시 뒤집어 말았다가 펴야 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을 빌려 말합니다. “나는 오랜 세월 동안 한쪽으로 둘둘 말려있던 <논어>라는 텍스트를 반대편으로 뒤집어 말음으로써 이런 오해를 바로 잡고 싶었다.” 이 책이 텍스트를 제대로 뒤집어 2500년 전 공자의 생각이 제대로 펴졌는지는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잠언을 넘어 철학을 원하는 독자의 몫이겠지요.
아, 논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한문상식, 공자 연표, 주요 제자 일람, 공자시대 주요국 세계 등 풍성한 부록은 덤이라고 하네요.
박민영 지음. 포럼. 1만9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