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교육은 평화를 만드는 사람을 길러야 한다

 자본이 전 지구를 식민지화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이기에 전 세계는 전쟁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바 인류 보편의 문제는 평화이다. 평화는 단지 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다. 다수의 희생위에 소수의 권력과 부를 집중시키는 세상은 평화로운 세상이 아니다. 세상은 날이 갈수록 빈부 격차가 심해지며 우리의 자녀들은 그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모든 사람들이 피부색, 신체적 장애 유무, 지역, 종교, 사상은 물론 인종, 민족, 국가, 문화를 넘어 평등하게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고, 더 나은 삶과 세상에 대한 꿈을 추구하는 자유를 누림으로써, 삶의 기쁨과 신비를 맛보며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평화로운 세상, 공동선이 살아 있는 세상이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은 인류의 평화라고 생각한다. 평화를 위해 역할을 할 사람, 전 분야에 그런 기능인을 길러내는 것이 교육의 목표여야 한다. 우리가 선망하는 판검사는 권력의 시녀도 아니고 힘이 아닌 정의를 추구하는 법관이 되라는 것이다. 의사가 되지 말라는 게 아니다. 돈벌이가 아닌 사람을 고치는 의사가 되라는 것이다. 그렇게 저마다 자신이 지닌 재능으로 자기 분야의 '평화를 만드는 사람(분쟁을 종식시키려 애쓰는 중재자)'이 되는 것이다.

유럽대학협회(EUA)는 자신들이 정한 기준에 따라 ‘국제 대학 순위평가' 보고서를 발표한다. 장점보다는 단점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단다. 이런 평가에서 늘 1~2등 하는 대학이 하버드대다. 그런데 이 대학 학장을 지낸 해리 루이스는 하버드가 소비자본주의의 포로가 돼버렸다고 비판했다. 자신의 책 '혼을 잃은 최고'에서 그는 대학이 이윤 좇는 기업처럼 운영되면 학생은 소비자가 된다고 했다. 소비자인 학생은 브랜드 가치 위주로 대학을 지원하고, 대학은 브랜드 지키기에 연연한다. 그런가 하면 소비자의 창가에 브랜드만 진열되는 것처럼 서보명이 쓴 '대학의 몰락'에서는 돈 안 되는 교양·인문 과정들은 줄이고 기부금 등 돈 등 끌어들이기 경쟁에 골몰한다.

대학은 바르고 의미 있게 사는 법이 아니라 돈 벌고 출세하는 시장주의 기술을 가르치고 패거리를 만드는 곳으로 전락해 가고 있다. 이른바 명문대는 그런 것 잘하는 대학이다. 계급 증명서가 돼버린 명품 브랜드에 홀리듯 사람들은 명문대 브랜드에 줄을 선다. 대학은 계급과 브랜드를 분석하고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수호자가 돼 수익과 특권 관리에 매달린다. 대학 순위평가는 이런 대학과 평가기관 배만 불린다.

대학의 이런 타락에 저항한 사람들이 있다. 바로 루이스와 그 동료 교수들이다. 이들은 하버드에서 쫓겨났다. 대신 하버드를 장악한 건 재무장관 출신 신자유주의자 래리 서머스의 ‘워싱턴 사단’이었다.(리처드 브래들리 <하버드가 지배한다>) 1970년대 서울에 미성년 창녀 100만이 우글거렸다고 폭언한 서머스는 재무차관 시절 외환위기(아이엠에프 사태) 때 한국을 궁지로 몰아 넣은 경력이 았다. 그를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자리에 앉힌 버락 오바마의 뜬금없는 한국 교육 예찬에 들뜰 것 없다. 한국은 대학교육마저 영혼 상실의 미국 대학 을 뒤쫓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대 법인화도 결국 미국식 신자유주의 명품 만들기로 가자는 방향에 줄 서기를 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