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세상이 변하면 교육도 변해야

반세기 전만하여도 국민 상당수가 배고픈 시절이었다. 험난한 시절을 살았던 우리 아버지 세대들은 대부분 농업 관련 일을 하면서 살았다. 육체적으로 일 때문에 매우 힘들어 하셨다. 이미 많은 분들이 세상을 떠나셨거나 지금도 고령으로 생을 지탱하고 계신다. 시대가 달라진 지금 그분들의 삶을 되돌아 본다. 그분들을 그렇게 지탱한 힘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자신의 삶은 힘겹고 고통스럽더라도 자식 세대에게 더 나은 세상을 물려주기 위한 희망을 품었던 것이 아니던가!

그래서 일상적으로 새벽 달을 보면서 일터에 나갔고 논둑길이 잘 안보이는 시간이 되면 집에 들어오는 삶이었다. 이처럼 우리 아버지들은 일과 노동으로 땀으로 범벅된 삶을 살았다. 일과 노동은 의식주를 비롯한 인간 생활의 필수품을 얻기 위해 정신적, 육체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이다. 자신의 삶을 살았다기 보다는 오로지 자식들을 위한 삶이었다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의 내가 있다는 생각을 한 번도 잊어본 적이 없다. 우리 부모들은 미래의 희망을 자식 교육에서 찾았다. 다음 세대에게 좀더 나은 세상을 물려줄 수 있는 희망만 있다면 지금의 고통도 감당할 수 있다고 믿었다. 최악의 상황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다면 능히 살아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세상을 버텨 온 것이다. 이처럼 우리 아버지들은 자식교육에 희망을 걸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떤가? 선뜻 답이 잘 안나온다. 희망보다는 낙담을, 낙관보다는 비관을 느끼는 사람이 늘어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교육현장에 있는 나보다 일전에 만난 한 학부모는 학생들에 대한 그 비관 수위가 높은 것에 내 자신이 깜짝 놀랐다. 이같은 현실을 이땅의 리더들이 아는가, 모르는가? 지식을 관리하는 기관은 제대로 정보를 파악하고 있는 것일까? 한편으로는 괜히 이같은 부정적인 말을 하면 욕먹지 않겠느냐고 나무라면서 그냥 조용히 지내라는 권고도 한귀로 들려 온다.

세상이 변하면 교육도 변해야 한다. 우리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배움이 많고 어느 정도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돈을 많이 들여서라도 명문 중고교에 보내려 한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미래를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기 위해서이다. 그들 자녀들의 삶의 질은 교육에 미래가 달려있다고 믿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수능이 끝난 시점에 입시 설명회에 학부모들이 가득하다. 소위 평등을 강조하는 진보적인 교육감이라 할지라도 자기 자식은 명문고에 보내거나 유학을 보내는 대열에서 결코 벗어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만큼 자녀 교육은 자녀의 미래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세상이 글로벌화 되면서 교육문제는 곧 경제문제로 연결된다. 그러나 국정 운영자들 사이엔 이런 공감대가 잘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앞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공교육 개선을 위해 얼마를 쏟아 부어야 할 것인지 계산을 해야 할 때이다.

이제 교육도 산업으로 접근해야 한다. 차별화와 경쟁, 혁신의 개념을 교육에 적용하지 않으면 다음 세대 아이들이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채 치열한 시장 환경 속에 들어가서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결과로 젊은이들은 힘겹게 자신의 삶을 꾸려가겠지만 책임을 져야 할 세대들은 이미 사라지고 난 후가 될 것이다. 그 때 가서는 우리의 선대들은 우리를 위하여 무엇을 하였느냐고 소리쳐 봐야 소용이 없다. 그래서 보다 더 정확한 현실 분석과 이에 대한 대응이 교육분야에서 일어나야 한다. 지금의 교육계는 세상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세상의 비판을 듣고 성찰해야 할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