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후세에게 남길 위대한 유산은 무엇인가

인간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소망하면서 살아 간다. 그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삶의 방향이 결정되고 과정이 달라찐다. 또,이에 따라 결과는 당연히 달라지게 마련이다. 얼마 전 한 조사에서 한국 고등학생들이 행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돈’(19.2%)을 꼽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신문에 발표됐다. ‘화목한 가정’(17.5%)보다 돈을 선택한 학생이 많았다는 사실에 씁쓸해 하는 어른들이 많았을 것 같다. 어린 학생들이 행복의 첫째 조건으로 돈을 택한 근거는 ‘돈이 최고’라는 사회적 분위기가 작용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다른 어떤 가치보다 돈이 중시되는 사회분위기임은 부인하기 어렵다. 부자 부모를 만나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을 기회를 거머쥔 이들은 많은 젊은이들의 부러움의 대상이다. 실제로 한국 사회에서 상당수 자산가들은 자신이 가진 부를 다음 세대에 물려주고 있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부자들의 재테크 중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증여 및 상속 계획이다.

하지만 자식에게 ‘돈’이 아닌 다른 유산을 물려주려는 자산가도 많다는 사실에 우리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 필자가 만난 한 은행 프라이빗뱅커(PB)의 고객으로 수십억 원의 자산가인 40대 아버지는 초등학생인 아들과 한 달에 한 번 주중에 서울의 특급호텔에서 조식을 먹는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 실정은 잘 모르지만 우리 나라는 주중에 호텔에서 조식을 먹는 사람들 가운데는 성공한 비즈니스맨이 많다. 그 고객은 “아들에게 내가 가진 돈을 고스란히 물려줄 생각은 없다”며 새벽부터 바쁘고 열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을 가까이 보면서 자기 아들이 긍정적인 자극을 받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 일을 시작하였다는 것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부자인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주와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도 자녀의 미래를 위해서 상속이 아닌 기부를 하겠다고 일찌감치 밝힌 바 있다. 버핏은 “자녀들에게 재산을 너무 많이 남기면 그들은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영국의 대문호 찰스 디킨스의 소설 가운데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이란 작품이 있다. 주인공인 고아 핍은 소원대로 막대한 유산을 받게 된다. 그는 유산에 기대어 런던에서 ‘신사’로 행세하며 호의호식하며 살게 되지만 점차 무기력해진다. 일련의 사건들로 모든 상속이 취소된 후에야 그는 고향에서 대장장이로 일하는 매형 조처럼 조카에게 무한한 애정을 쏟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며 사는 인간다운 삶이야말로 위대한 유산임을 깨닫게 되는 이야기이다.

미국의 돈을 주무르는 벤 버냉키 전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지난 해 미국 프린스턴대의 졸업식 연설에서 “미래를 설계할 때 열정이 아닌 돈을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은 불행의 첩경”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필자 주면에서도 상당한 부모로부터 우리와는 다르게 유산을 받아 젊은 시절을 노름으로 보내다 결국에는 삶을 일찍 포기한 친구도 없지 않다. 과정이 흐트러지면 결론도 흐트러지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상당수의 우리 아이들이 불행의 첩경을 가고 있는 현실이 아닌가? 이같은 자료를 보면서 자녀 스스로 멋진 미래를 그린 후, 그 꿈을 향해 한걸음씩 내딛는데 힘이 되는 ‘위대한 유산’을 남겨주는 부모들이 한국에도 더 많아졌으면 하는 소원은 나만의 소원은 아닐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