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여중은 2014년도 NIE선도학교로 선정되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전국의 학교를 대상으로 NIE선도학교 공모를 실시, 전국적으로 초등 62개교, 중학교 76개교, 고등학교 55교를 선정하여 발표하였다. NIE선도학교로는 신문을 활용해 학생들에게 창의, 인성, 진로 등 특성화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전남 지역의 경우 중학교는 광양여중을 비롯하여 7개 학교가 선도학교 운영에 참여하게 된다. 이 지원 대상 학교에는 미디어 교육을 위한 수업교사의 강사료를 언론진흥재단이 연간 35시간 지원(시간당 5만원)하며, NIE와 관련된 수업 주제를 정해 방과후수업, 토요 수업 등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하고, 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교육을 위한 연간 15시간의 전문 강사를 파견하여 주는 지원을 한다. 또한, 학교별 신문을 30부-50부 지원할 예정이다.
NIE(신문활용교육)란 신문을 학습교재로 활용하여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습 방법이다. 신문활용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매일 엄청난 새로운 정보가 쏟아지는 시대에서 신문을 통해 세상을 배우고 미래를 준비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매일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되므로 인지 능력이 발달하고 사고력이 향상되며, 창의력을 길러주게 된다. 또한 단순한 암기 능력이 아닌 정보, 자료의 분석을 할 수 있으며, 비판 능력을 길러주는데 도움이 되며, 미래에 대한 꿈을 키우고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임형주 팝페라 가수는 "신문을 통해 어제와 오늘의 역사를 알아야 내일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신문 읽기가 필수이다."라고 했으며,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 청소년기의 신문 읽기 덕분에 오늘의 내가 있다."고 할 정도로 신문은 글로벌 리더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필자는 교사 시절 사회과 수업을 단순히 교과서 지식만 전하는 것이 아니라 신문기사, TV를 녹화하여 학생지도 자료로 활용함으로 학생들이 변하는 세상에 대한 관심의 폭이 넓어진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제 지식의 수명이 단축되어 평생 학습을 하지 않으면 적응하기 어려운 시대를 맞이하여 매일 신문을 읽고 생각며, 적응해 가는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