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소비가 미덕이라는 말이 더 낯설지 않은 시대가 되었다. 그런데 벌써 오늘이 50회 저축의 날을 맞이하게 되었다. 필자는 어릴 때 학교에서 강제로, 아니 반 강제로 우체국통장 만들고, 돼지 저금통을 갖기도 했던 기억이 살아 있다. 그러니까 어렸을 때인 60년대는 민족 자본이 없어 외국에서 돈을 빌려와서 투자를 해야 될 때 아주 긴요하게 쓰였던 우리의 투자 자본이 된 것이다. 그렇지만 요즘은 이 저축률이 떨어져도 너무 떨어지는 것 같다.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이 3.4% 수준이다. 우리 나라 경제가 잘 나간 80년대 중반 이후부터 60년대 초반까지 거의 8, 9년 정도는 20%를 훨씬 넘었었다. 한국이 이렇게 저축률이 높으냐?, 이게 연구주제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
그러나 IMF로 경제가 어려워지니까, 정부에서 소비를 좀 하라 저축보다는 소비를 하라, 이런 분위기를 많이 만들었다. 그 다음에 가계 대출 같은 것도 많이 허용을 해주고, 2001년부터 저금리 시대가 되어 사회 전체가 저축보다는 빚을 권하는 사회가 돼버리는 바람에 그렇게 저축률이 급락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0.4%까지 떨어진 다음에 2003년에 카드대란이 일어나 소비를 못하게 될 지경이 되니까, 우리가 2003년, 2004년에 소비 증가율이 사상 최장기간 동안 마이너스를 했었다. 그러다보니 가계저축률이 조금 올랐으나 2005년부터 다시 떨어져서 많아야 4% 간신히 넘기고, 못하면 2%, 그 다음에 오르락내리락 거기서 이제 벗어나지 못하는 처지가 되어 미국이 5.4%, 독일은 7%가 넘는다는 한국은 3.4% 수준이다.
우리나라 저축률은 굉장히 여러 가지가 얽혀 있는 현실이다. 가계 저축률 하나만 높인다고 되는게 아니다.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종합적으로 보면 우리나라는 가계저축률이 낮은 것도 문제지만 기업저축률이 너무 높은 것도 문제이다. 기업저축률은 OECD 2위인데, 가계저축률은 OECD하위권이다. 이 말은 우리 경제에서 자금이 돌다가 기업으로 가면 가계로 나오지 않고 흐르지를 않으니까 순환이 안되고 내수가 안 좋아지고 내수가 안 좋아지니까 고용이 안되고 투자가 안되고, 그러니까 자꾸 국민들은 복지를 요구하고 이런 악순환 저성장의 악순환에 빠져드는 것은 아닌지!
저축을 생각하면 피어폰트의 하인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세계적인 기업 피어폰트 모건은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막대한 유산을 배경으로 철도와 철강에 손을 대 명실상부한 억만장자가 되었다. 그는 어느 날 자기가 오랫동안 데리고 있던 하인의 방문을 받았다. 그는 하인에게 용건이 무엇이냐고 묻자 그 하인은 나도 이제 나이를 먹었으니 하인 생활을 그만두고 편히 쉬고 싶노라고 말했다. 정승 판서도 저 싫으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그만두겠다는 하인을 더 이상 잡아둘 수 없어 그는 그럼 그렇게 하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 가지 조건이 있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원래 살림이 큰 집이니 당장 그만 둘 수 없고 다음 하인이 올 때까지만 있어달라는 것이었다. 하인은 그 조건을 수락했다. 피어폰트가 하인을 구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두 사람이 응모를 했다. 그는 개인 면담을 거쳐 그 중 한 사람을 택하고 다른 한 사람을 돌려보내려 했다. 그때 하인은 합격하지 못한 또 다른 하인 응모자를 붙잡았다. 그리고는 당신은 내가 하인으로 고용하겠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그 하인은 그동안 피어폰트를 모시면서 피어폰트만한 부호는 되지 못했지만 번 돈을 틈틈히 저금하여 이제는 하인을 두고 살만한 정도가 된 것이다.
지금같은 저금리 시대에 예금은 손해라고 해서 움켜쥐고 있어 봤자 불어나는 것도 아니다. 어느 어르신은 나이가 들어 깨달은 사실이 있는데, 인생에는 나를 위로해 주는 것이 세 가지 있는데 첫째는 해로한 조강지처요, 또 하나는 여러 해 키워준 강아지요, 다른 하나는 저금통장이라고 한다. 그러니 어려서부터 아이들에게 저축을 할 수 있는 마음을 제대로 가르치기만 한다면 언젠가는 그들도 하인을 거느리지는 못할지라도 살아가면서 남에게 구걸하는 모습은 보지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