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정치권에는 독일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단다. 그 이유는 유럽에 많은 나라들이 있지만 가장 성공한 나라가 독일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 연구 멤버들은 '독일이 어떻게 성공했나?'를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 올해 말까지 독일 모델을 벤치마킹한 한국형 자본주의의 발전 모형을 모색한다니 정치의 변화를 기대하여도 좋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정치도 그동안 미국식 신자유주의를 기치로 성장에만 매달려 온 기존 모델로는 당면한 양극화, 사회 갈등 고조 등 고질적인 사회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위기감 속에서 독일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이처럼 정치 분야에도 벤치마킹이 이뤄지듯 우리 교육도 새로운 모델을 필요한 시점은 아닌가 생각해 본다.
지금까지 우리는 미국식 교육의 영향을 받은 측면이 많다. 그러나 이같은 모델로는 이제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는 느낌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한국의 청소년 문제는 가정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얼마전 공영방송이 방영한 '위기의 아이들'도 이를 잘 지적하고 있다.
그렇다면 가정교육이 잘 된 나라는 어디일까? 유태인 교육의 신화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전 세계 0.2%의 인구로 179명이 받아 노벨상 수상자의 25%를 차지한다. 미국에서도 근현대사의 지적 흐름을 주도해 온 유태인은 금융ㆍITㆍ언론ㆍ문화ㆍ예술 등 세계 주요 산업에서 독보적 성과를 자랑하는 이들의 활약은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미스터리다. 세계 곳곳에서 리더로 자리 잡은 유태인들의 성공 비결은 바로 그들만의 남다른 가정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3살만 되면 역사 이야기를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우리는 왜 일본에게 침략을 당하였나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하고, 광주 민주화운동을 이야기 해 주어야 한다. 입만 열면 공부하라하니 지겨울 수 밖에 없다. 아이들과 소통하는 유태인들의 특별한 가정교육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이 많다고 생각된다.
유태인 학생들이 기억에 남은 내용은 ‘부모님과의 대화’에 관한 것이었다. 많은 학생들이 부모님을 생각할 때마다 자신과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떠오른다고 하니, 유태인 부모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가장 큰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 아닐 수 없다. 유태인 부모들은 자녀들이 공부를 재미있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어려서부터 쉬운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들려주면서 생각하고 질문하는 사고력 훈련을 시킨다. 당장 글자 하나를 더 알게 하려고 공부시키는 게 아니라 스스로 알기 위해 노력하도록 지도한다. 얌전하게 말 잘 듣는 아이보다는 호기심을 가지고 모르는 것을 당당하게 물어보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게 조력자가 되어주는 것이다.
유태인 교육은 아이들이 태어나자마자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이들은 식탁에 앉아 밥을 먹을 수 있는 나이가 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받으며 때로는 의사결정에 동참하기도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어머니의 역할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교육의 열쇠는 어머니가 갖고 있다. 유태인 가정교육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은 지대하다. 자녀들의 성장 과정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유태인 어머니들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어린 자녀에게 토라(구약성서의 첫 다섯 편으로 흔히 모세오경이나 모세 율법이라고도 함)를 읽어주는 일이다. 그리고 아이는 어머니와 끊임없이 소통한다. 유태인 어머니들은 이러한 소통의 교육 문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또한 아이들의 행동과 의견, 사고방식을 통해 그 아이의 개성과 잘하는 무언가를 찾아내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여긴다.
실제로 어머니는 자녀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 스스로 하고 싶어 하는 의지”에 비중을 두고 있다. 매일 대화하고, 잠들기 전에 책을 읽어주고, 함께 여행이나 현장 학습을 가고, 부모 스스로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의 활동을 일상생활 속에 몸에 밴 습관으로 만들어 놓으면 그 자체가 산교육이라는 것이다. 특히 아이들은 자기 전에 부모가 책을 읽어주면 책에 대한 집중도가 높아지고 책을 읽어주는 부모의 목소리에서 정서적 안정을 얻는다니 이런 교육을 하는 부모를 우리는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일부에서는 유태인이 뛰어난 이유가 유태인 어머니의 자녀교육 때문이라고 주장할 정도로 어머니의 육아는 중요하다. 그들의 헌신적인 가정교육의 밑바탕에는 민족의 장래를 이어나갈 아이들이 바로 이 사회의 가장 중요한 존재라는 인식이 깔려있다. 유태인 부모들은 아이들의 지적인 호기심을 길러주기 위해 이끌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말한다. 이제 우리교육이 위기를 맞이한 시점에서 변화가 필요한 것은 가정교육이라 생각한다. 이는 학교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지만 학교도 그 문을 열 시점이라는 것이 가슴에 와 닿는 것은 나만의 느낌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