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가정은 영원한 '삶의 배움터'이다

삶의 곳곳에서 갈등과 대립의 양상이 나타나 요즈음 사회를 보면서 어지럼증을 느낄 것 같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는 시대이다. 그런가 하면 미래 세대의 삶과 직결된 공교육의 파탄으로 정치의 난맥보다 더 깊고 무거운 국가적 불행을 초래할 것이라 염려하는 이도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제도교육보다 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분야가 있으니 바로 가정교육의 부재이다.

‘전인격’을 지향하는 고전적 교육목표는 헌신짝만큼도 여기지 않는 세태다. 유난히 학벌에 집착하는 우리네의 허영심, 상업자본주의에 영혼을 팔아넘긴 얄팍한 시대 정신 따위가 이처럼 서글픈 ‘교육의 카오스 시대’를 초래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시점이다.

치솟는 이혼율, 가정폭력, 서민경제의 파탄 등 갖가지 사유로 수많은 가정들이 파괴되어 가는 현실에서는 올바른 가정교육을 기대하기 어렵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이다. “아들딸 구별 없이 하나만 낳아 잘 기르자”는 구호 아래 모두들 아이를 하나씩만 낳아 기르다 보니, 형제 자매들의 부대낌 속에서 스스로 절제하며 서로의 갈등을 조절해 가는 지혜를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성장한 것이다.

‘인류의 교사’로 불리는 페스탈로치의 말처럼 ‘가정은 도덕교육의 터전’이다. 올바른 인성과 반듯한 삶의 자세는 교사의 입이 아니라 부모의 품에서부터 배워 가는 것이다. 저마다 왕자로, 공주로 자라난 아이들이 올바른 인간관계를 형성해 가기 어려운 것은 당연한 일이다. 남자들에게는 그나마 공동생활의 마지막 훈련 기회인 군복무마저 이리저리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니, 이렇듯 독불장군으로 혼자 커 온 아이들이 무슨 재주로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윤리를 배울 수 있겠는가.

아이들이 싸움을 하면 내 아이를 먼저 야단치는 것이 우리네의 오랜 관습이었다. 상대방 아이의 부모에게는 “제가 잘못 가르친 탓이지요”라며 먼저 머리를 조아렸다. 이는 위선이 아니라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였다. 요즘에는 아이들 싸움이 곧잘 부모의 싸움으로 이어지곤 한다. ‘누가 감히 내 아이를…’ 하는 오기가 살벌한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아이의 기를 살리는 것도 필요하지만 당당하되 양보할 줄 아는 인격, 비굴하지 않되 넉넉히 참아낼 줄 아는 품성을 길러주는 일이야말로 무엇보다 중요한 상생의 덕목이다.

걸핏하면 자녀에게 손찌검을 해대는 아버지, 정직하기보다 일등 하기만을 바라는 어머니 밑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의 심성이란 생각만 해도 안쓰럽다. 여리고 불안정한 인격을 학교에 맡겨놓고 공교육을 탓하는 것은 부모의 올바른 자세가 아닐 것 같다. 학교와 교사에게 불만을 쏟아내는 학부모일수록 스스로 가정교육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사례를 보아왔다. 맥아더 장군은 사랑하는 자녀를 위해 “정직한 패배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승리했을 때 겸손하며, 실패한 이들에게 관대하고, 남을 다스리기 전에 먼저 자신을 다스릴 줄 알게 하소서.” 하는 기도를 드렸다.

젊은이들의 인격과 품성에 관한 한, 학교는 제1차적인 책임의 주체가 아니다. 오직 가정만이 그 값진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바탕자리다. 가정은 유치원보다 먼저 입학해서 대학원보다 늦게 졸업하는 평생의 학교이기 때문이다. 아니, 가정에는 졸업이라는 제도가 아예 없다. 오랜 세대를 통해 연면히 이어져 가는 ‘처음이자 마지막까지 삶의 배움터’다.

어버이는 첫 스승이자 마지막 스승이다. 아버지는 살아 있는 역사요 평생의 멘토이며, 어머니는 정신의 고향이자 태아 시절부터의 담임 선생님이다. 누구든지 세상에 태어나 맨 처음 만나는 사람은 어머니라는 인격, 그 최초의 여성이기에.

아버지는 집을 짓고, 어머니는 가정을 만든다. 아버지가 가장이라면, 어머니는 가정의 중심 곧 가심이다. 아버지들이 산과 들판을 휘저으며 먹잇감을 찾아 생명의 피를 흘리고 생태계에 상처를 입힐 때, 어머니들은 어린아이에게 젖을 물리고 텃밭에서 채소를 경작하며 생명과 자연을 보듬어 안았다. 그래서일까, 조병화 시인은 “어머님은 속삭이는 조국/ 속삭이는 고향…/ 가득히 이끌어 주시는/ 속삭이는 종교”라고 읊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