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의 글로벌화로 자녀의 외국어 공부에 대한 문의를 하는 학부모의 상담이 있었다. '외국어 공부'라면 학생은 물론 직장인에게는 더이상 낯설지 않은 단어이다. 우리 나라 기업으로 글로벌 기업 ’삼성’에서 일하고 싶다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영어는 기본, 중국어는 필수, 제3외국어까지 한다면 금상첨화다. 평생을 쫓아다닌다는 외국어를 어떻게 정복할 것인가?
외국어 공부는 운동과도 같은 것이다. 잠시 손을 놓으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가까이 더 가까이 하는 것이다. 어린 시절 배운 언어는 더 쉽게 잊어지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어른이 되면 다시 되살아 나는 것도 보았다. 그런데 현재 하는 일을 하면서 분명 외웠던 단어인데,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외국어를 멀리하고 있는 자신이 보일 것이다. 회사 생활에서 업무와 병행하며 외국어를 공부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항상 꾸준히 해야 ’감’을 잃지 않는다. 그렇다면 자신의 실력 유지를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을까?
외국어를 잘 하는 사람들은 자신만의 다양한 방법으로 꾸준히 언어의 감각을 유지하는 일이다. 외국어를 잘 하는 이들과 이야기를 해 보니, 몇 가지 공통적인 점이 있었다. 지금은 시대가 좋아 외국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하다. 지금은 SNS 끼고 살면 가능하다. 첫번째, 스마트폰으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 SNS를 활용한다. 페이스북에서 친구를 맺고, 안부를 전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다. 교재 밖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다. 메신저로 실시간 채팅을 하기도 한다. 외국인 친구들과 꾸준히 연락해야 실력이 느는 것 같다.
두번째, 드라마 섭렵하는 방법이다. 중국어를 전공한 한 후배 교사는(전공은 영어, 6개 국어 구사 가능)은 외국 드라마 마니아다. "시청률 1~20위까지의 모든 드라마를 보고 있다. 비록 다 볼 수 없더라도 라인업은 꿰고 있어야 한다. 우울한 날엔 ’서티락(30Rock)’을, 심심한 날엔 ’덱스터(Dexter)’를 골라볼 줄 아는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자기 생각을 밝혔다. 초보 미국드라마, 영국 드라마는 학습자들이 꾸준히 시청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필자가 외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배운 것은 "공부는 엉덩이로 한다"이다. 드라마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빅뱅이론을 처음 보면 적응하기가 어렵지만 엉덩이로 버텨야 한다. 모든 일이 집중력이 필요하듯이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드라마는 집중해서 3편까지만 보면 적응할 수 있다. 하지만 드라마를 오래 보면 애인을 잃게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길. 애인을 잃어도 언어를 얻겠다면, 드라마를 활용하는 방법을 적극 추천한다.
세번째, 인터넷 동호회를 이용하거나 이태원, 홍대 등 외국인들이 주로 모이는 곳을 공략한다. 현지인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 아랍어를 전공한 한 후배는 "이태원 근처에서 만난 아랍인 친구들과 정기적으로 모인다. 아랍어를 전공한 친구들을 만나 스터디를 하는 것도 방법이다. 아랍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쉽게 접할 기회가 적어 본인의 의지가 더욱 절실하다"고 말했다.
외국어는 대화 상대가 있어야 회화 실력이 는다. 현재 서울에만 거주하는 등록 외국인은 30만 명에 육박하고 있으니 관심만 있다면 만날 수 있다. 이들과 친구가 되어 대화를 나누다 보면 자연스럽게 향상되는 실력을 느낄 것이다. 특히 희귀 언어를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적극적으로 대화상대를 찾아 나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외국어는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굳어진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외국어의 즐거움은 무엇보다 새로운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아진다는 게 아닐까. 새로운 사람, 다른 문화를 만날 생각만해도 설레임을 느낀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진심이 중요하다. 그 진심으로 소통하는 재미를 느끼다 보면 자연스럽게 언어 실력도 느는 것 같다.
외국어는 자칫 부담으로 와 닿을 수 있는 것이지만, 일상 생활에서의 재미로 바꿀 수 있다. ’즐기는 사람을 이길 방법은 없다’는 말이 있듯이, 즐기다보면 어느 순간 눈에 띄게 향상된 본인의 실력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외국어는 꾸준하게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에게 딱 맞는 방법을 일상 곳곳에서 시도해 보고 '아! 이것이구나!' 하는 감이 잡힐 때까지 실천해 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