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지난 5월 2일 발표한 ‘2013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최근 청소년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다. 또 청소년 10명 중 1명 이상은 지난 1년 동안 자살 충동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 2001년까지만 해도 청소년 사망원인 1순위는 교통사고(10만 명당 15.6명)였다. 10년이 지난 2011년 기준 교통사고 관련 사망자는 10만 명당 7.8명으로 크게 줄었다. 대신 10만 명당 7.7명이던 청소년 자살은 13명으로 크게 늘었다. 13~24세 조사대상 청소년의 11.2퍼센트가 자살 충동을 느꼈는데, 이 중 성적과 진학문제가 39.2퍼센트, 가정 불화가 16.9퍼센트로 뒤를 이었다.
이처럼 언제부턴가 ‘학생을 고객으로 하는 학교’가 신문 사회면에 사건 기사로 자주 다뤄지고 있다. 과거 ‘학교’를 이야기 하라 하면 선생님, 우정, 추억 등을 떠올렸다. 하지만 이제 ‘학교’는 ‘폭력’ ‘집단따돌림(왕따)’ ‘자살’ 등을 연상하는 사람이 늘어가는 것은 아닌지! 마치 지금 학교에서는 끔찍한 일들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 때문에 학부모들은 귀한 자녀들을 어떻게 학교에 보내야 할지 걱정하게 된다. 그러나 학교는 비관적으로만 주저앉지 않았다. 사회와 대부분의 학교가 우리의 미래가 될 아이들을 위해 바로 세우고 있다. 학교는 미래를 담보하는 마지막이자 영원한 희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학교가 문제를 일으키는 공간에서 탈피할 수 있는가? 학부모가 기피하는 학교에 희망을 걸 수 있는가? 학교는 아이들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가 등 진지하게 물어야 할 시점이다. 나아가 사회 구성원들이 우리 사회에 희망이 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과거 학교와는 다른 운영 목적과 철학이 필요해졌다. 학교가 진학과 취업 등 직접적인 목적을 이루는 곳만은 아니라는 반성을 할 시점이다. 학교들은 ‘사람을 만드는 곳’으로 변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현재 학교에서 벌어지는 각종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새로운 전인교육의 장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다.
때문에 지나친 경쟁교육을 벗어나 전인교육을 향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에서는 학생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바탕으로 아침 인사로 학생 맞이하기, 지속적인 중간걷기 시간 운영, 스포츠 클럽 활성화를 통한 다양한 스포츠 활동의 촉진으로 스트레스 발산, 학생자치회의 활성화로 자긍심 함양, 긍정적 변화를 이룬 학생에 대한 교직원 사랑 장학금 지원, We클래스 활성화를 통한 적극적 상담 실시와 진로교육의 충실을 비롯해 교실 수업에서는 '배움의 공동체'를 통한 더불어 살아가기를 실천하는 활동이다.
이제 학생지도 방법에서도 문제를 일으킨 학생들에게 벌을 주고 경연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낸 학생에게 상을 주는 수준을 넘어서야 한다. 학생들의 변화를 지켜보는 선생님의 눈에서 아이들의 변화를 촉진하고자 하는 의지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시장에 가면 자기 물건을 열심히 파는 모습을 보면 희망을 느끼는 것처럼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흐망을 파는 상인이 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교사가 중심에 서서 아이들과 소통하면서 이뤄지는 다양한 학교 교육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줘야 한다. 그런 ‘희망의 학교’를 만들기위한 노력이 여러 학교에서 다양하게 일어나 그 열매가 열리게 될 때 우리 사회는 '희망의 나무'가 쑥쑥 자라 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