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급진적으로 변하면서 교육 현장에는 많은 아픔이 있다. 학생이 교사를 폭행하고, 교사도 학생을 때리는 사건이 간혹 보도를 타고 흘러 나온다. 최근에는 학교 폭력을 견디다 못한 중학생이 스스로 삶을 마감하기도 했다. 그 수가 적지 않은 현실인데 아직도 무감각한 것이 안타깝다. 배움을 통하여 즐거워야 할 교육의 현장이 왜 이렇듯 ‘아픔’의 장소로 변했을까? 이를 변화시키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한가?
많은 교사들은 모두 입을 모아 학교에 ‘소통’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교사들은 아이들의 마음을 안다고 하는데 아이들의 반응은 그것이 아니다. 아이들의 세계를 너무 모른다. 그러나 아이들 입장에서 보면 답답할 일이다. 선생님은 목자요 학교는 목장이다. 송아지의 속성을 모르고는 외양간으로 안내하는 일은 매우 힘든 일이다.
어느 날 랄프 왈도 에머슨은 아들과 함께 송아지를 외양간에 집어넣기 위해 애를 쓰고 있었다. 에머슨은 뒤에서 힘껏 밀었고 아들은 앞에서 세게 끌었다. 그러나 두 부자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만 생각하는, 아주 흔한 일반적인 실수를 범하고 있었다. “아니, 이 송아지가 왜 안 움직이는 거야? 빨리 외양간으로 들여보내야 되는데.” 송아지는 네 다리로 버티고 서서 꿈쩍도 하지 않았다. 송아지도 자기가 원하는 것만을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풀밭을 떠나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고 있었다.
옆에서 이 광경을 보고 있던 아일랜드 출신의 가정부가 씩 웃으며 말했다. “제가 한번 해볼게요” 그러더니 엄지손가락을 송아지 입에 집어넣는 것이었다. 송아지는 어미 소의 젖인 줄 알고 정신없이 쪽쪽 빨기 시작했다. 손가락 빠는데 정신이 팔린 송아지는 하녀가 이끄는 대로 순순히 외양간으로 들어갔다. 송아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에머슨보다 가정부가 훨씬 더 잘 알았던 것이다.
이제 세상의 지식도 어른보다 아이들이 더 많이 아는 분야가 많다. 난 이제 IT분야는 문제가 발생하면 항상 아이들에게 의존하여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이다. 가속도로 달리는 아이들 앞에 노력하지 않고는 따라잡기 어려운 것이 요즘 시대 특성이다. 아이들이 진정 무엇때문에 힘들어 하는가를 알기 위해 귀 기울여야 밥먹고 살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아이들과의 소통을 위하여 아이들의 문화에 접근하는 노력이 아쉬운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