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잘 아는 한 기자가 정치부 기자를 그만두고 교육부 출입을 하게 됐다고 알려 왔다. 평소 그는 교육 문제에 관심이 많아 나와 이야기를 나눈 적이 많았다. 그가 정치부 기자를 마감하고 교육 발전에 작은 힘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어서 희망했다니 바람직한 일이라 생각됐다. 그렇게 ‘교육 기자’의 명찰을 달고 출입한 지 100일을 넘긴 첫 소감은 ‘교육 문제는 정말 해답이 없구나’라는 이야기부터 전해 주었다.
교육은 온 국민의 관심사이면서도 사회·경제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당연한듯 싶다. 그래도 그는 우리 사회가 ‘건강한 미래’로 나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통로는 역시 교육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100점은 못 받더라도 최소한 낙제점을 피하고 국민 대다수에게 박수를 받는 교육이 돼야 한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말처럼 결국 그는 '교사의 역할'을 강조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교육부를 출입하고 나서 교육 환경이 열악하지만 초·중·고교 중 우수 학교로 변신한 사례를 종종 접할 때, 그 내용을 찬찬히 살펴보고 이들 학교의 공통점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학교장을 중심으로 교사들의 열정이 대단한 점이다. 하나 같이 비전을 제시, 구성원 모두가 공유하고, 솔선수범하는 교장과 ‘어떤 학생도 낙오되거나 상처 입지 않도록 보듬겠다’는 마음으로 교사가 똘똘 뭉친 학교였다.
이런 학교는 학생과 학부모들에게는 ‘다니고 싶고, 보내고 싶은’ 학교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과연 이런 학교가 얼마나 될까”라고 물었을 때, 자신있게 “많다!”라고 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은 그만큼 많은 문제들이 뒤얽혀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특히 언론사에 제보된 내용이나 주변 학부모 등을 통해 품성과 자질이 수준 미달인 일부 교사의 행태를 들으면 착잡하기 그지없다니 아직도 현장은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들은 묵묵히 소임을 다하는 많은 동료 교사의 얼굴에 먹칠을 할 뿐만 아니라 전체 교사에 대한 신뢰도를 갉아 먹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초심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왜 내가 교사가 되었는가?를 자신에게 묻는 것이다. 재미 없이 고통스럽게 아이들고 보낸다는 것처럼 불행한 일이 어디 있을까! 경제만 빈인빈 부익부가 있는가 했더니 교육에도 그대로 투영되고 있는 현실이다. 공부하지 않아도 지도하는데 별 문제없이 좋을 정도의 교사는 더 열심히 공부하고, 열심히 배워 문제를 잘 해결하는 방안을 터득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연수 장소에 보이지 않고 있으니 아쉬움이 남을 뿐이다. 물론 교사가 대부분의 해결할 수 있는 일이지만 사회가 다층의 교육기관이 교권을 바로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분위기도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