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시험 이야기(2)

우리는 모든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시험에 잘 통과하기 위해서는 시험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바꾸는 일이다. 어떤 학생람은 시험을 생각하면서 “그래 이건 내가 해야 할 일이야. 어차피 할 일이면 즐기면서 해야 해.” 라고 스스로를 격려하면서 맞이 한다. 반면 어떤 사람은 “정말 지겨워. 언제까지 꼭 이걸 해야 한단 말이야?” 라고 투덜거린다. 그러니 시험을 생각하면 기분이 나빠지고, 그 결과가 엉망인 것은 당연하다. 먼저 시험이 필요한 이유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즐겁게 할 수 있는 그림을 마음 속으로 그려보는 일이다. 그래야 시험을 끌려다니지 않고 오히려 시험을 자기 성장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평소에 조금씩 미리 준비한다. 많은 학생들은 시험 시간이 발표되면서부터 시험을 준비한다. 물론 시험 직전이 되어서야 벼락치기를 하는 학생들에 비해서, 그리고 그것도 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서야 더 낫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소에 수업을 들으면서, 혼자서 공부를 하면서, 어떤 문제가 시험에 나올 수 있는지를 생각하면서 공부를 한다면 시험에 대해 더 즐거운 마음으로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평소에 준비하지 않는 습관을 가진 사람에게는 이 말을 들려 주고 싶다. “게으른 자는 석양에 바쁘다.”라는 말을 잠자리에 들면서 외워보면 자기 스타일이 어떤지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셋째, 과목에 따라 준비 방법과 시간 안배를 달리한다. 우리 모두는 다르다. 따라서 좋아하는 과목, 싫어하는 과목, 그리고 핵심 과목 등 분류가 필요하다. 시험을 준비할 때는 공부해야 할 과목에 따라 시험 준비 방법을 달리해야한다. 암기를 위주로 해야 하는 과목은 많은 내용을 효과적으로 암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해가 중요한 과목은 적은 내용이라도 철저하게 이해해야 응용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 그리고 과목의 수와 각 과목별로 투자해야 할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만약 수학이 어렵다면 날마다 수학을 공부할 수 있게 시간표를 짜고 부담이 없는 과목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그리고 짧은 시간에 몰아서 할 수 있게 시간표를 짜는 것이 효율적이다.

넷째, 모든 시험은 출제자가 있다. 나를 가르치고 계신 선생님은 모두 출제자이다. 시험 제출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데이트를 신청할 때도 예상이 필요한 법.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가 어떤 표정을 짓고, 무엇을 말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상대방이 좋아할 수 있는지를 예상해 볼 수 있어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 공부한 내용을 이해하고 암기하고 난 다음에는 그것을 문제로 바꾸어 보는 습관이 필요하다. 가장 수동적인 예상 문제 만들기는 문제집을 풀어 보는 것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스스로 예상 문제를 만들어 보면 이해가 더 빨라지고 기억도 더 잘된다. 예상 문제를 만들 때는 친구들과 의견을 주고 받으면서 서로 문제를 내고 답하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다섯째, 정답을 확인하고, 오답 노트를 만든다. 한 과목이 끝나고 나면 즉각적으로 답을 확인해 보라는 말이 아니다. 쉬는 시간에는 다음 시험 준비를 하는 것이 더 낫다. 시험이 끝나면 “야! 해방이다!” 라고 환호를 지르면서 시험지를 내팽개치고 쳐다보지도 않는 학생들이 많다. 모든 시험이 끝나면 과목별로 정답을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오답 노트’를 따로 만들어 틀린 문제에 대한 정답과 틀린 이유를 확인해서 정리해 두면 마지막 시험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문제를 잘못 읽은 것, 몰라서 틀린 것을 다른 색깔로 칠하거나 다른 표시를 해두면 다음 시험에서 비슷한 실수를 저지르는 시행 착오를 줄일 수 있다.

여섯째, 시험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다. 시험에 나온 문제들은 하나씩 검토하면서 그 내용이 기재된 교과서와 참고서에 표시를 하라. 맞았던 문제든 틀렸던 문제든 문제로 출제되었다는 것을 중요 할 뿐 아니라 다시 출제될 가능성도 높다. 가끔 자기가 모르는 문제를 추측으로 맞추었을 경우도 있다. 그것을 자신의 ‘찍는 능력’ 으로 돌리면서 다시 돌아보지도 않는 학생들이 많다. 이 경우도 반드시 표시를 해두고 왜 그것이 정답인지를 확인해서 교과서나 참고서에 표시해야 한다. 그래야 다음번에 비슷한 문제가 나올 때 실수하지 않고 자신 있게 답을 쓸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