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내가 잘 하고 있는가? '피드백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는 지금 중대한 국가적 위기에 봉착해 있다. 위기란 그냥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언젠가부터 우리가 방심하는 사이에 주변 환경이 변했다는 것이다. 북한이 핵 개발을 위하여 달려가고 있었는데 주변국과 우리는 이에 대해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우지 못했다는 이야기이다. 이처럼 세상은 국가와 국가 사이에, 사람과 사람 사이에, 또 지배자와 그 신민 사이에 끊임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역사가 투키디데스는 '어디서나 강한 자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하고 약한 자는 자기가 반드시 해야 하는 일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고 하였다. 인류의 출발점은 힘이다. 힘은 초원에 뛰노는 동물의 세계에서만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우리 인류도 철저하게 힘의 논리에 의하여 지배당하고 있다. 우리가 왜 이렇게 북한의 핵위협에 불안해 하는가?

이같은 생존경쟁의 마당에서 개인도 퇴출되지 않기 위해서는 주제 파악과 목표 설정이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주제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는 고승들이 언제나 묻는 질문들이다. 그만큼 인간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럼 나의 모습은 어떤가? 당신은 어떤 사람이고,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직장인 버전으로 바꾸어 보면 “당신이 하는 일은 맘에 드는가? 계속 이런 일을 하면서 살고 싶은가? 그렇지 않다면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 그런 일을 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가?” 정도로 바꾸어 볼 수 있다.

조직에는 두 종류의 인간이 있다. 밥값을 하는 사람과 밥값을 축내는 사람이다. 겉으로 드러내진 않지만 대충 서로 짐작은 한다. 밥값을 하는 사람은 떳떳하게 다니고 이후의 삶에도 자신감이 있다. 밥값을 못하는 사람은 늘 불안하고 잘릴까봐 전전긍긍한다. 그 사람의 최대관심사는 어떻게 해서든 이 조직 안에서 살아남는 것이다. 밥값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몫을 채가는 것과 같다. 조직에 기생해 살고 있는 것이다.

우선, 밥값을 해야한다. 어느 착한 학생도 자기는 밥값을 하기 위하여 공부한다고 했는데 나에겐 신선하게 다가왔다. 이를 위해서는 거기에 맞는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전문성이 없는 사람, 언제든 더 싼 인력으로 대체가 가능한 사람은 살아남지 못한다. 살아남아도 제 가격을 받을 수 없다. 자기계발의 출발점은 처절한 반성과 큰 깨달음이다. ‘더 이상 이렇게 살아서는 안 되겠다, 시대 변화에 너무 뒤떨어졌다, 이런 실력과 역량으로는 더 이상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개선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늘 다음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야 한다. 현재 조직에서 내 위치는 어떤가? 월급 받는 만큼 일은 하고 있는가? 내 일에 만족하는가? 생산성을 올리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 다른 사람 눈에 비친 나는 어떤가?그들의 기대에 부응하는가? 주변 사람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도 방법이다.

상사가 대표적이다. 월가의 전설 탬플턴은 매달 자기 상사에게 질문을 했다고 한다. “제가 잘 하고 있는 건가요? 잘 하는 점은 무엇이고,좀 더 노력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질문을 받은 상사는 템플턴에게 조언을 해주려고 노력했고 그 결과 그는 1년 만에 부사장으로 진급하게 된다. 당신의 현재 상태를 알기 위해 상사, 고객, 주변 사람에게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물어보라. 조금은 물어보기 두려울지도 모른다.

교직도 마찬가지이다. 다른 사람들은 학생들과 열심히 소통하려고 노력하고 연구하는데 아무런 대책없이 '땡출땡입'으로 살아간다면 무슨 의미를 찾을 것인가? 어느 교사는 "교사의 삶이란 외로울 수 밖에 없다.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그 누구의 도움도 없이 철저하게 혼자서 학생들과 상대해야하기 때문이라 하였다." 이 세상의 모든 교사는 이렇게 자기 삶을 꾸려 나간다. 그래서 외롭지 않게 잘 성장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선생님 수업이 재미없어요"라고 용기있게 말하는 학생의 소리를 듣고 욱박지르지 않고 크게 들을 수 있으면 해결 방안이 나올 것이다. 그때 밥값을 제대로 하는 시작이 될지도 모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