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할 수 있나요?

한 학생이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교장실을 방문, 중학교에서 공부를 잘 하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는지 교장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는 것 이었다. 지금까지 이렇게 교장실을 찾아 와 물어 본 학생은 없었는데 너무나 기특하기에 다음 자료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하였다. 아이는 조금은 어렵지만 앞으로 해 보겠다는 의지를 보여 네가 일년 동안 실천한 후에 다시 한 번 만나자는 이야기를 나눴다. “맛있는 빵을 만들기 위해선 제빵기를 잘 다뤄야 하듯 공부를 잘 하기 위해선 언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 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독서가 중요하다.

독서의 과정은 훑어보기(Survey)·질문하기(Question)·정독하기(Read)·되새기기(Recite)·다시 보기(Review)의 방법이다. 훑어보기는 책을 읽기 전에 전체적인 흐름과 윤곽을 잡는 것이다. 이 때 책의 제목과 목차, 소제목 등을 보고 내용을 유추해 본다. 질문하기는 훑어보기를 통해 개괄적으로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의문점들을 떠올리는 단계다. 질문을 떠올리기 어렵다면 책의 소제목을 질문으로 바꿔볼 수 있다. 예컨대 ‘독서는 학습의 지름길이다’라는 소제목이 있다면 ‘독서가 어떻게 학습의 지름길이 된다는 걸까’라는 식으로 질문을 만든다.

질문을 만들었다면 이제 책을 정독할 차례다. 단순히 책의 내용을 알기 위해 독서를 해서는 안 된다. 책 읽기는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 아무리 많은 책을 읽어도 그것을 소화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한 권을 보더라도 의미를 파악하고 책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도록 깊이 있는 독서를 해야 한다. 자기 스스로에게 “끊임 없이 왜 그렇죠, 하지만 제 생각은 달라요와 같이 글쓴이에게 대화를 시도해야 ”깊이 있는 독서를 할 수 있다.

책을 읽었다면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 되새겨봐야 한다. 기억하는 책의 줄거리와 요점, 그리고 생각을 입으로 말해보는 방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자기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은 어디인지, 이 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은 어떤지를 분명히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시 보기는 내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과 책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염두에 두고 읽어 나가는 과정이다. 다시 보기를 토대로 자신이 놓친 부분까지 완벽히 정리하면 한 권의 책을 제대로 소화했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

독서도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 특히 독서 이력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대학에 진학할 때 독서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어 중요하다. 독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형식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제목·저자·출판사·책을 읽은 기간 그리고 핵심 내용 등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독서 포트폴리오에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서평을 쓰는 연습도 필요하다.

“국제고·외고 등 특목고의 자기주도학습 전형과 대학입시의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지원자의 독서 경험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서평”이기 때문이다. 서평은 책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글이다. 줄거리가 아닌 나의 의견과 그 근거를 위주로 글을 적어야 한다. 주의할 점은 서평과 독후감을 구별해서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독후감은 책을 읽은 후 자신의 감상을 적어 내려가는 것이다. 하지만 서평은 글에 대한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가와 근거를 적는 것이다. 읽은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글의 줄거리나 사소한 정보까지 모두 담을 필요는 없다. 입학사정관들은 서평을 통해 왜 그 책을 읽었고, 무엇을 느꼈는지, 그로 인해 얻은 것은 무엇인지 등을 알고 싶어 한다. 따라서 이 점에 맞춰 서평을 작성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