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아야, 입학하여 일주일이 지난 것 같구나. 학교생활은 아직 익숙하지는 않지만 점차 잘 적응해 가리라 믿는다. 이 세상 모든 것은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힘든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겠지? 이제 새로운 배움터에서 중학교에서 배운 것을 기초로 한 단계 수준 높은 공부를 할 수 있게 된 것을 축하한다. 무엇보다 새 친구들을 많이 만났겠구나. 앞으로 세상을 살아가는데는 학문적인 성과도 중요하지만 좋은 친구를 얻는 것도 아주 중요한 일이니 관심을 갖고 살아가기 바란다.
그리고 너와 난 중학교라는 울타리에서 만난 인연으로 이렇게 다시 글을 쓴다. 인상적인 것은 학습일기를 상당히 깔끔하게 쓴 것이다. 그러나 며칠 간 그것을 쓴다고 너의 일생의 변화를 가져오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 내가 살아오면서 기억에 남은 사람들을 돌이켜 생각해 보면 정말 꾸준히 썼다는 것을 기억할 수 있구나. 초등학교 때 만난 한 친구 그는 6년동안 생활일기를 썼는데 아직도 내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구나. 너도 초등학교 때 방학숙제로 밀린 일기를 쓰느라 애먹었던 기억은 없었는지? 그리고 지금은 유명한 일간지에서 논설을 쓰시는 분은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대학 마칠 때까지 10여 년에 걸쳐 꽤 꾸준히 일기를 썼으며, 게다가 이곳저곳 여행할 때마다 쓴 기행일기도 여럿 있단다.
그런가 하면 구한말 의료 선교사였던 이가 쓴 '알렌의 일기'가 유명하단다. 이것은 일기를 넘어 우리 근대 역사의 중요한 사료에 다름 아니다. 산파였던 마서 무어 밸러드가 1785년부터 1812년 77세를 일기로 죽을 때까지 27년간 썼던 '산파일기'도 그 자체로 생활사의 걸작이라 생각한다. 이 일기에 따르면 그녀는 816명의 아이를 받아냈다는 것이다. 그녀 스스로도 아홉 자녀를 낳았고 그중 셋이 어릴 때 죽었다. 일기 그 자체가 인생을 웅변하는 것 같다. 아니 일기가 곧 역사였다.
일기의 힘은 지속하는 데 있다. 우리는 지나온 생에 대한 연민보다 앞으로 살아가야 할 나날들에 대한 애정 때문에 일기를 쓴다. 일기는 단지 매일매일 뭔가를 기록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결코 놓아버릴 수 없는 자기 삶에 대한 담담한 애정이며 절절한 세상과의 생의 소통이라 생각한다. 지금은 안팎으로 위기이다. 북한은 공격을 하겠다고 하고 경제가 어려워 자살하는 사람도 나타나고, 취업이 어려워 눈물 속의 생활을 하는 젊은이도 있다는 사실이다.
이제 넌 고교생활을 통하여 네가 만난 친구가 이 세상에 대하여 어떤 자세를 가지고 있는가? 친구의 강점은 무엇이며, 내가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관점을 가지고 일기를 쓰자. 그리고 네가 존경하는 선생님을 만나 네가 던진 질문에 어떻게 답하는가도 모아가면서 기록해 보는 것이다. 그러러면 네가 물을 질문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삶의 여정에서 결코 놓아버릴 수 없는 자기 삶에 대한 증인이 되자.
그리고 이제 3년 후에는 네가 금융인이 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면접 등을 통과해야 하는데 그때 가서 네가 자랑할 수 있는 것 한 가지 나는 고등학교 생활 속에서 친구들과 만난 이야기를 꾸준히 기록한 이야기가 있다는 사실을 증명 한다면 이것은 요즈음 아이들이 갖지 못하는 중요한 스펙이 될 것이다. 만일 이런 준비가 없이 시간을 보내고 나서 그때 가서야 내가 뭘 공부하고 실천했지?라고 어리석음을 후회하는 것은 너에게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기에 말이다. 하루에 한 페이지 쓰는 것 사소하게 보이지만 3년의 기록을 모은다면 그것은 바로 너의 '삶의 역사'가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평범한 생활인일지라도 일기를 쓰는 것은 스스로의 생을 견디게 하고 촛불처럼 흔들리는 삶을 붙들어 주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