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지도과정에서 상담을 하다보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받은 잘못된 훈계가 평생의 상처가 되어 잘못된 자아상을 갖게 되고 불행한 결과를 가져다주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자녀들이 부모를 향하여 공격하는 사건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같은 시대에 과연 어떻게 훈계하는 것이 성공하는 자녀교육의 왕도일까?
부모와의 애착이 잘 안 된 아이는 세상을 불신의 눈으로 보게 된다. 자라면서 연령에 맞는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한 아이에게는 공격성과 폭력성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내향적인 아이는 우울증과 사고의 왜곡을 가져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범죄를 저지른 행동 후에도 후회보다는 자신의 행동이 정당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아이들은 성장 과정에서 친밀한 친구 관계를 맺어보지 못한 경우가 많이 있다. 우리 부모들은 잠시 멈추고 우리 자신들을 돌아보아야 한다.
우리 자녀들이 성장과정에서 왜곡된 것은 무엇이 문제일까? 이것은 성품이 결여된 성취만을 강조해 온 결과라 생각한다. 성품을 가르쳐서 성품 좋은 자녀를 기르는 것이 성공적인 자녀교육의 길이다. 성품이 좋은 사람은 공부도 잘 하고 꼭 성공하게 되기 때문이다. 성품 좋은 한 사람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바로 그 사람이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녀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중요한 기간인 대략 10년에서 13년 동안으로 부모는 분명한 일관성과 지침을 가지고 가르쳐야 한다.
아이들을 야단치고 때리는 것이 훈계가 아니라 아이들의 마음을 존중하고 자라게 해 주는 것이 제대로 된 훈계이다. 바람직한 훈계는 목표를 지시하고 명령하는 훈계가 아닌 자녀를 존중하고 사랑하는 훈계법이다. 훈계란 히브리어로 “뮤카”로서 ‘책망’, ‘경고’ 또는 ‘지도’라고 하며, ‘근신’, ‘징벌’, ‘확인’, ‘정정’, ‘가르침’, ‘책망’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훈계는 자녀가 훌륭한 인격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가 가르치고 수정하고 훈련시키는 것이다.
자녀는 우리 삶의 열매이며 부모들의 면류관이다. 성경에 의하면 하나님은 사랑하는 자를 훈계하신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모들 또한 자녀들의 유익을 위하여 훈계해야 한다. 자녀를 잘못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자녀에게 지혜를 주기 위해서, 자녀를 성장하도록 독려하기 위해서, 부모가 줄 수 있는 최대의 영향력이기 때문에 훈계해야 한다. 아이들의 욕구대로 놔두는 것이 가장 좋은 교육의 방법인 줄 생각하는 사람은 그 자녀 때문에 훗날 눈물을 흘리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