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의 진전과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회는 엄청난 속도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변화의 속도가 느린 것이 교육현장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환경이지만 조용히 변화를 시도하는 선생님들이 계시기에 우리는 희망을 갖는지도 모른다. 필자는 11월 29일 오후 보성에 있는 용정중학교 사회과 교사의 수업 컨설팅을 위해 발길을 옮겻다. 조 교사는 이번 수업 공개의 의미를 수업의 변화에 촛점을 맞춰 새로운 도전을 한 것이다. 이같은 노력이 축적되면서 아이들의 성장은 물론 교사의 성장이 이뤄지리라 기대하여 본다
"첫째, 몇 번의 설문조사 결과 알게 된 점은 학생들은 교사가 정확하게 내용을 전달해주는 강의식 수업을 선호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아이들은 주입식 교육을 싫어한다고 하면서도 시험을 보기 위해서나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모둠별 활동 보다는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이 적고 선생님이 결론을 내려서 머리에 넣어주는 강의식 수업을 선호하고 있었습니다. 학습 의욕이 상대적으로 높은 우리학교 학생들조차 스스로 배우고, 스스로 생각하기를 싫어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까웠고, 그런 생각을 바꿔보고 싶었습니다.
둘째, 다양한 모둠 학습 방법을 해보았지만, 연표 만들기나 신문 만들기, 마인드맵 만들기 등은 일회적인 활동일 뿐, 지속적인 학습 활동이 되지 못했고, 실제적으로 그런 활동 속에서 아이들은 무언가를 새롭게 배우기보다는 교사를 통해서 배운 것을 적당히 활용하는 것에 그치는 한계점이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아예 학생이 매 시간 마다 아이들이 수업의 주가 되고 교사가 보조가 되는 방법 그리고 예습, 모둠별 발표, 학생의 질문, 교사의 설명, 복습의 여러 단계를 거쳐서 학습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셋째, 아이들에게 책을 읽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싶었습니다. 상당수 아이들이 교과서나 주어진 텍스트들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글자 그대로의 의미보다는 문맥을 파악하는 읽기를 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아이들은 그러한 읽기를 시도하지도 않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글을 제대로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스스로 깨우치게 하고 싶었습니다.
이런 고민들을 한 결과 오늘과 같은 수업을 하게 되었고, 사실은 지금도 확실한 방법을 찾았다기보다는 계속 더 나은 방법이 무엇일지 고민하고 시도하고 있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많이 부족하고 서툰데 이렇게 공개 수업을 하게 되어서 마음의 부담이 컸습니다. 하지만 많은 선생님들이 같이 보고, 많은 조언을 들으면 제가 생각하고 있는 고민의 양도 훨씬 적어질 것으로 믿고 부담을 덜어내기로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여러 방면으로 더욱 고민하고 연구해서 아이들이 좋아하고 저도 즐거운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이와 같은 수업의 시도를 위한 노력에서 '아이들이 수업의 중심에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고민의 출항은 시작된 것이다. 이제까지 수업이 교사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면 이제부터는 아이들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변화를 경험하게 될 때 진정한 가르치는 전문가로서 자리매김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