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대선 주자들의 확고한 교육철학이 보이지 않는다

두번의 실패를 발판으로 삼아 이번 나로호 발사로 하늘 문이 열리면 우리나라는 자국 발사체로 위성을 쏴 올려 성공땐 10번째 우주클럽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아쉽게도 고무링 파손으로 발사가 연기되었다는 뉴스 속보를 듣고는 아쉽기 그지 없었다. 현장감을 느끼기 위해 나로도까지 방문한 사람들에게 더욱 실망감이 컸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끝은 아니다. 개인이나 국가같은 거대 조직도 실패없이 처음부터 잘 나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대한민국도 1960년 대 그 이전, 그러니까 약 50여 년 전에 전 세계 16여개국 중 3대 빈곤국가 중에 하나였다. 한마디로 실패의 나라였다. 우리보다 뒤진 나라는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밖에 없었으니까. 그게 불과 50년 전의 필자가 초등학교 다닌 시절 대한민국의 위상이었다. 오죽하면 6.25전쟁 때 우리가 아는 전 세계 16개국이 참전을 하고 그 나라 중에 상당 부분이 현재는 우리나라보다 못살고 있지만 1950~60년대 우리나라는 정말 더 못살던 나라였다. 그랬던 한국이 정말 훌륭하게 50여년 이라는 짧은 기간에 발전한 것은 열심히 노력한 선배님들, 순국선열들의 피난 노력 때문이라 생각한다.

오늘날 한국경제의 위상은 전 세계 230개 나라중에서 일인당 국민소득이 현재 이만달러가 되고, 우리나라의 GDP 규모로 보면 전 세계 국가에서 12번째 국가가 되었으니 대단한 일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그리고 1977년도에 우리나라 모든 국민들이 다 힘을 합쳐 모은 전체의 수출금액이 100억달러였는데, 현재는 한 달에 수출과 수입을 하고 무역흑자가 나는 대단한 나라로 발전했다. 그러면 지금까지 잘 한 건데, 필자가 소원하는 바는 선진국에 진입하는 것이요, 남북이 통일되는 것이다. 230개 나라 중에 선진국 강대국이 되어 잘 사는 나라가 현재 20여 개 정도이다. 우리가 그 안에 들어가려면 조금만 더 마지막으로 더 스퍼트를 내면 20개국 안으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시점에 와 있다.

중요한 것은 학교다닐 때 공부를 열심히 해봤지반 전교생 300명 중에서 30등안에 들어가는 건 비교적 쉽다. 그런데 30등 안에서 25등 20등 10등 5등 안으로 들어가는게 훨씬 더 어려움을 느낀다. 왜냐하면 선두주자들도 놀기만 하면서 가만히 기다리고만 있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원래 과학의 역사는 실패의 역사이며, 끊임없이 도전하는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실패를 두려워하면 과학의 발전은 끝이다. 선진국도 이러한 실패의 과정을 거쳤으며, 미국은 이미 상업 우주 관광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미래의 경쟁은 '우주개발이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인용할 필요도 없이 기초과학에서부터 경쟁력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일 외에는 길이 없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 한국인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김용 총재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재임 성공, 가수 싸이의 흥행 등 국제무대에서 한국인이 거두는 성공에 고무돼 있다. 이같은 시점에서 대선을 앞두고 인기를 얻기 위여 대선 주자들이 내놓은 반값등록금 등 돈을 투자한 복지 중심의 공약이 만발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교육을 어떻게 하겠다는 확고한 철학이 아직 보이지 않는 것이 아쉽다. 우리 나라가 안고 있는 있는 문제를 해결할 통일정책, 외교 안보 문제 못지 않게 교육과 기술 등 총체적 국가시스템이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인식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