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바람을 몰고 온 태풍도 지나고 피해지역 곳곳에서는 복구에 땀을 흘리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무런 피해를 입지 않은 곳에서는 그 심각성을 느끼기 어려울 것이다. 이같은 피해의 요인이 '기후의 변화'라는 것에 별 관심이 없을 것이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지구의 온도는 날로 상승하여 머지 않아 북극의 빙산은 사라지게 될 거라니 곰이 살아야 할 곳도 없어지게 되어 사라질 운명이 가까워지고 있다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렇게 기후가 서서히 변화된 것에 사람은 큰 위기의식을 느끼지 못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 사회도 변화하여 흉악한 성폭행이 발생, 사람으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나 세상을 경악케 하고 있다. 이렇게 세상만 변하는 게 아니라 사회 전반이 변화의 소용돌이에 있다. 지하철의 아침 출퇴근하는 어른 세계에도 마찬가지이다. 10명중 6명 정도는 뉴스도 보고 게임도 하고 공부도 하는 등 여러 가지 개인적 필요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물질 문명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그만큼 우리 나라가 스마트 폰 보급율이 매우 높은 덕택이 아닐런지!
그런데 이런 현상은 조그만 교실세계도 나타나고 있다. 아침시간 아이들의 행동을 보면, 서늘한 아침인데도 아이들은 등교하여 오늘 할 수업을 준비하면서 기다리기 보다는 스마트폰에 매달려 있는 모습은 우리 나라만이 볼 수 있는 특수한 광경이 되었다. 아이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몰입된 스마트 폰을 만지다 현재로서는 별로 절대적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교실 수업이 시작되면 수업 받는 태도가 과연 이래도 되는가?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지금의 아이들은 매우 피곤한 모습이다. 이유는 스마트 폰 사용을 비롯하여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두개의 학교를 다니고 있기 때문이며, 이에 아이들은 주의 집중을 잃어버리고 하는 일마다 피곤한 모습으로 임하게 되니 학교 수업 시간이 즐거움이 될 수 없다. 피곤하게 보인 아이를 개별적으로 불러 이유를 물었더니 학원에 가서 11시가 넘어서 집게 돌아갔다니 이것이 부모의 책임인가 아니면 아이들의 책임인가 혼돈이 될 때가 있다.
이제 옛날처럼 무작정 공부만 많이 한다고 성공하는 시대는 끝났다. 아무리 실력이 좋아도 다른 사람과 어울려 자기에게 부여된 문제를 해결하고, 함께 일하기 위하여 배려하는 정신이 없이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이러한 품성의 육성은 더불어 배우고 가르치는 혐동적 분위기의 학교 수업이 아니고는 불가능하다. 우리 부모들은 한결같이 좋은 성적이 나오길 바란다. 아이들이 공부를 잘 하는데는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게 되는데 무엇보다도 환경적 요인에 대하여 학부모나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재능은 태어날 때 타고 나지만 이를 발견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우리들이 갖고 있는 그 재능을 찾아서 갈고 닦은 일이다. 재능이 있다할지라도 1만시간의 노력이 있어야 성공할 수가 있다.
특히 이나라의 교육주권자는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가 수행한다. 한마디로 어머니들은 아이들의 교육에 절대적 주권자이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은 엄마의 강요에 떠밀려 안 갈 수도 없다. 아이들이 스스로 학원을 택한 것이 아니라 부모의 권유에 의해 다니다 보니 흥미가 있을 수 없다. 그렇다고 학부모도 주변 다른 아이들은 모두 학원에 보내는데 자기만 보내지 않으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기에 어머니들에게 불안심리가 작용한 것도 사실이다.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안철수씨는 초등학교 때 성적이 탁월하지 않았지만 부모가 차분히 기다려주었다. 안철수 어머니가 제일 강조한 점은 남들보다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이 했느냐보다는 ‘오늘 하루 최선을 다했느냐’였다고 한다. 이러한 교육관은 안철수 부부에게도 그대로 이어져 그들의 외동딸에게 최대한의 자율권과 선택권을 주는 교육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항상 “최선을 다하고, 남을 배려하고, 겸손하라”는 가르침은 어찌 보면 많은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당부하는 평범한 가르침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 아이들을 바르게 키우기 위해 필요한 것은 많은 비법과 특별한 훈련이 아닌 듯하다.
중학교 과정에서 무기력증에 빠진 상당수의 아이들은 이미 부모의 강요에 의해 떠밀려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은 아닐런지! 이런 아이들에게 공부는 짜증나고 힘들고, 하기 싫지만 엄마가 시키니까 노예처럼 할 수 없이 해야만 하는 고통스런 과제가 되고 있다. 지나치게 강요된 공부로 몸은 피곤하고, 마음은 스마트 폰에 빼앗겨 가고 있다. 이제 아이들의 마음을 다스리는 주인임을 깨닫는 시간을 갖도록 하면 어떨까?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가 더 앞장 서 학부모 교육을 통하여 공감대를 형성 아이들 스스로가 '자신의 삶의 운전자'가 되도록 되돌려야 할 것이다.
이같이 자기 주도적 삶을 살아 온 아이만이 삶을 살아갈 때 매서운 한파와 태풍이 불어와도 넘어지지 않고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 열매를 아름답게 맺을 것이다. 탐스럽게 익은 과일이 태풍에 떨어져 썩어져 가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의 아이들이 아름답지 못한 모습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