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런던장애인올림픽이 '하나 된 우리(Live as one)'를 주제로 29일 밤(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림픽스타디움에서 가진 화려한 개막식을 시작으로 12일 간의 열전에 돌입했다. 이번 런던장애인올림픽은 다른 장애인올림픽보다 조금 더 특별한 의미가 있다. 런던이 장애인올림픽 발상지이기 때문이다. 또한 패럴림픽 사상 가장 많은 166개 나라에서 온 7000여 명의 선수단은 ‘역동하는 혼(Spirit in Motion)’이라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20개 종목 503개 세부 종목에서 메달을 놓고 실력을 겨룬다.
개막에서 영국의 천재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등장하면서 8만 관객과 세계인에게 감동을 안겼다. 화려하고 웅장하게 펼쳐진 이번 개막식은 장애인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출전 기록을 남기게 된 북한 등 각국 선수단 입장, 개막식의 하이라이트인 성화점화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호킹 박사가 오프닝 무대에 등장하자 관중은 엄청난 환호를 했다. 스물한 살에 루게릭 병(근육이 위축되는 질병)진단을 받은 뒤 몸 전체에 마비가 진행돼 몸의 거의 모든 부분을 움직일 수 없게 된 호킹 박사가 대중 앞에 직접 모습을 드러낸 것은 오랫만의 일이었다. 그는 청중과 세계인들에게 짤막한 강연을 선사했다.
호킹 박사는 1985년 폐렴을 앓아 기관절개술을 받아 그후 목소리를 잃어버렸기에 음성 인식기를 통해 “고개를 들어 별들을 보라. 당신의 발만 쳐다보지 말고”라며 “우리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무엇이 우주를 존재하게 하는지 궁금해하라. 호기심을 가져라”고 연설했다.
또한, "문명이 시작된 이래 인간은 우주의 근본 질서를 이해하기를 갈망해 왔다. 왜 그것은 그런 상태에 있으며 도대체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우리는 모두 다르다. 표준적인 인간이나 평범한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공통적으로 창의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다. 삶이 아무리 힘들더라도 모든 사람에게 특별한 성취를 이뤄낼 힘이 있다."면서 장애인에 대한 배려를 호소하기도 했다.
이같은 장애인들이 만들어 낸 가장 멋있는 감동과 희망의 역사는 심약하게 성장하는 아이들게 장애인과 더불어 사는 것을 배우고, 의지가 약한 자신을 되돌아 보는 아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런던에서 전해오는 우리 선수들의 메달 소식은 태풍 복구를 위해 땀흘리는 모든 사람들에게도 절망을 극복해 내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믿는다. 또, 과학과 문화가 어우러진 장애인 올림픽 축제의 향연은 장애인 교육 및 교육행정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필자에게 감동 자체이듯이, 전세계의 장애인들에게 희망과 도전의지를 전해주는 감동으로 스며들 것이다. 아름다운 도전을 향해 런던으로 떠난 우리 나라 대표단 148명은 진정한 대한민국의 챔피언임을 잊지 말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