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에는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위대한 법칙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인과법칙이 아닌가 생각된다. 인과법칙은 모든 결과에는 특정한 원인이 있다는 이론이다. 이 법칙은 모든 것은 어떤 이유가 있어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은 그것들을 설명해 주는 특정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세상의 원리는 생활에서 출발하며, 이 원리가 모아져 학문으로 자리를 잡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사적으로든 공적으로든 '성공은 우연이 아니다'라는 결론에 이른다. 실패도 결코 우연이 아니다.
인과법칙은 자연과학의 세계만이 아닌 학교 생활 현장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A라는 학생은 국사에 대하여 관심조차 가지고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평소에도 '국사는 왜 이리 재미가 없는지? 왜 국사를 배워야 하나? '라고 생각하여 본적이 있다는 것이다. 이 학생이 이런 상태에 있는데도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면, 이 학생이야말로 영원히 국사 공부와는 담을 쌓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 뻔하다. 어느 학교이든 이런 상황의 아이들은 오늘도 학교 안에 너무나 많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과목만을 달리할 뿐이지 '재미 없다'고, '관심 없다'고 이런 저런 핑계는 학생 수 만큼이나 수두룩하게 널려 있다.
그럼 이 학생이 변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가? 필자는 결코 아니라고 생각한다. 교육자는 교육의 시작이고 끝이다라고 말하면서도 자기 자신을 대수롭지 않게 여길 때가 있다. 이때는 열정이 식고 아이들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는 증거일 것이다. 한 학생이 나를 만남으로 인생을 보람되고 힘차게 살 용기를 줄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 우리 교육자의 인생은 참으로 뜻깊은 것이라 생각된다.
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 사례이다. A 학생에게도 변화의 기회는 왔다. 필자가 국사를 지도하면서 자기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문제로 만들어 확인 받아보라는 과제를 내었다. 이 과제가 바로 <스스로 학습 노트>에 학교에서 공부한 것을 정리하여 오라는 것이었다. 지금의 용어로는 복습일기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랬더니 처음에는 교사가 가르친 핵심 문제와는 너무나 거리가 먼 것들 뿐 이었다. 확인 과정을 거치는 도중 본인 스스로도 아는 문제가 없어서 화가 났다라고 표현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 단계에 머무른 학생이라면 학업성취는 거의 불가능하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다시 무엇이 잘 못되었나를 설명하여 주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 만남에서 다시 확인을 할테니 공부해 오라고 하였다. 때문에 이 학생은 국사 공부가 정말 하기 싫었지만 선생님의 확인이 있기에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결과로 다음날은 공부를 해서인지 다 풀 수가 있었다는 것 이었다. 결론적으로 이 학생은 평가에서 국사 점수가 아주 좋아졌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난 국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라고 고백하는 모습을 보면서 인과법칙이 교육현장에서도 어김없이 적용되고 있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이같은 인과법칙을 단순히 적용하여 보고 싶다면 우리 주변에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이룬 사람을 추적하여 보는 일이다. 간단한 사례로 본교 정구부는 올해 전국소년체전에서 동메달을 땄다. 이 선수들이 아침 일찍부터 저녁까지 매달리는 모습을 조금이라도 보았다면 그 해답을 찾게 될 것이다. 그것은 기적이 아니다. 그것이 바로 인과법칙이다. 인과법칙만 제대로 이해한다면 한 인생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은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무관심에 '빠져있는 아이들에게 보게 하자. 추적하게 하자. 그리고 깨닫고 실천하게 하는 일 그것이 바로 교육이 가야할 길이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