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사람들

'꿈엔들 잊으리오 그 잔잔한 고향바다! '

이 구절은 김동명이 바다 근처에서 자란 영향으로 그의 노래에  바다를 노래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대부분이 산과 바다, 그리고 조그만 평야로 이루어져 그 영향을 받으면서 자라났다. 



그래서 모두 나름대로 추억이 살아있는 것이다.

내가 태어난 곳은 우리 나라의 정남진이라 불리우는 장흥에서도 골짜기이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깨끗한 강가에서 물을 즐기면서 고기를 잡고 다슬기를 주으면서 자랐다. 지금은 장흥댐 건설로 집터만 남고 고향사람들이 모두 이주를 하였다. 그러나 마치 집앞에 아버님이 심어 놓은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어서 집터만 기억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 고향이 없어지고 나니모든 추억들이 흩어져버린 느낌을 감출 수 없으며, 같이하였던 이웃도 친구도 멀어져 간 것이 사실이다. 지금은 어디에선가 고향을 그리워할 뿐이라는 추측을 하여 본다.

8월 17일 아침은 나에게 오랫만에 고향을 찾아 알고 있는 선배님들을 오랫만에 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장흥 지역의 유지분들이 만들어 운영하는 장흥학당 강좌에 초청받아 강의를 할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장흥은 내가 자라 교육을 받고, 30대 후반까지 후배들을 가르치면서 교직생활을 한 곳이라 잊을래야 잊을 수 없는 곳이다. 모처럼의 고향 방문이라 아는 분들과 식사도 하고 차도 마시면서 고향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강좌를 개최한 장흥학당은 전 교통부장관을 역임한 손수익 씨께서 지역 유지들과 함께 배움의 씨앗을 뿌리기 위하여 시작한 것으로 지금은 장흥군수를 지낸 김인규(변호사) 씨가 당주를 맡고 계셨다. 장흥학당 강좌는 벌써 382회를 맞이하고 있으며, 유명한 강사들이 출강하는 기록을 갖고 이어가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는 장성군이 주최하는 장성아카데미가 있는데 이 아카데미도 장흥학당에서 벤치마킹을 하여 시작한 것이라고 하니 장흥학당의 뿌리가 대단함을 알 수 있다. 특기할 만한 것은 관에 의존하지 않고 회원제를 바탕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장흥학당은 오늘날 후기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이야기를 나누는 장흥지역의 큰 사랑방 역할을 하는 곳이 아닌가? 우리 문화가운데 사랑방이 마을에서 문화전달 기능을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아주 어렸을 때 밤이 되면 아버지따라 가서 체험한 것으로 사랑방이 기억난다. 사랑방에는 온갖 이야기가 나오고 정보를 나누는 장이었다.프랑스의 살롱과도 같은 기능을 담당한 곳이다. 

시대의 빠른 변화와 더불어 끊임없이 시대의 변화를 읽지 않으면 뒤떨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아침을 먹도 열심히 평생교육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그 지역의 문제는 잘 해결되리라 믿는다. 국제화의 진전은 지방화의 진전과 더불어 사회진화의 두 날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지역과 세계를 통찰하는 학습이 우리의 삶을 살찌게 할 것이다.

이 같은 귀한 자리를 마련하여 주신 김인규 당주님께 감사드리면서, 이렇게 고향의 여러 선배님들과 '한국에게 일본이 주는 의미'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누게 된 것을 큰 영광으로 생각한다. 대대로 장흥학당이 강좌를 계속하여 자라나는 후세들에게 끊임없이 계승되어 배우는 조직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