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초등교실에서의 교우관계 ② 집단 따돌림

신학기가 시작되었으니 좀 있으면 학부모 총회가 각 학교에서 열릴 것이다. 총회 때만 되면 부모님들 중 몇은 자녀가 교실에서 집단 따돌림을 당하지나 않을까 걱정에 걱정을 한다. 최근엔 초중등할 것 없이 각 학교마다 이런 일들로 사건이 끊이지 않는지라 학부모들이 지나칠 정도로 걱정을 하는 것도 당연하다.

참으로 재미있는 일은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자녀가 다른 아이들보다 마음이나 힘이 약해 손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런 생각을 하는 학부모의 자녀일수록 그와 반대로 너무나 씩씩하게 학교 생활을 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말이다. 그걸보면 여든이 된 자식도 아기처럼 보인다는 옛 말이 하나 그르지 않다. 

실제로 모든 교실에서 집단 따돌림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 그런 일이 있다 해도 따돌림의 대상이 되는 아이는 교실에서 한두명 정도이다. 그러나 반대로 그들을 집단 따돌림하는 가해자는 8~9명, 심한 경우는 학급 재적의 절반 이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니까 교실에서 내 아이가 집단 따돌림의 피해자가 될 확률은 30분의 1정도(3%)이고 반면 가해자가 될 확률은 적으면 30분의 8(27%), 또는 2분의 1(50%)이상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녀가 피해자가 되지않도록 하는 일과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하는 일 중 어느 것에 더 심혈을 기울여야하겠는가? 피해자가 될 확률보다 가해자가 될 확률이 더더욱 높으니 당연히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 단 한 사람의 학부모도 아이가 다른 아이를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가해자가 될까봐 걱정하는 경우를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다. 가해자가 없다면 피해자도 생기지 않을 것이므로 아이가 따돌림을 당할까봐 걱정하기 이전에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우선일텐데 말이다.

집단 따돌림을의 대상이 되거나 가해자가 되기 쉬운 아이들에게도 대부분의 경우 그 특징이 있다.  우선 가해자가 없으면 피해자도 없을 것이므로 가해자가 되기 쉬운 아이들의 특징을 먼저 들어보겠다.

첫째, 욕심이 많아 적극적이고, 인정받고 싶으나 성취 수준은 보통 정도의 어린이인 경우가 많다. 이런 아이들은 다른 사람이 나보다 더 인정받고 튀는 것을 용납하기 어렵다. 반면 성취 수준이 아주 높은 아이들은 대부분 자기 관리를 하느라 너무 바쁘기 때문에 남에게 지나친 관심을 보이지 않으므로 남을 소외시키는 일도 거의 없다. 에너지가 넘치고 욕심은 많으나 욕심껏되지 않으니 다른 방법으로 욕구를 표출하는 것이다. 

둘째, 가정에서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는 어린이가 친구를 소외시킨다. 사랑은 아이들의 마음도 봄 눈 녹듯 녹이는 지라 부모와 대화를 많이 하고 인정 받는 아이들은 타인에게 관대하다. 가정에서 인정 받지 못하고 관심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은 사랑받고 싶은 욕구를 타인을 괴롭힘으로써 해소하는 것이다. 결국 남을 괴롭히는 아이들의 대부분이 가정에서의 피해자인 것이다. 

셋째, 참으로 특이하고도 당연한 것은 아이들이 부모님의 기질을 닮는다는 것이다. 부모님이 학창시절 누군가를 따돌린 경험이 아이에게도 전해지는 유전적인 닮음보다는 양육의 방법에서 아이가 생존하기 위해 습득한 후천적인 닮음이라고하는 것이 더 맞을 수도 있다.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라고도 하지 않는가? 부모가 관대하고 애정어린 모습으로 일관성 있게 아이와 생활한다면 절대 아이가 그러한 일들을 쉽게 저지르지 않는다. 혹여 잘못된 판단으로 그런 일을 시작했더라도 아주 빠르고 쉽게 자신의 길로 돌아온다. 그러니 어른들이 자식 무서워서 함부로 행동하지 못한다고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겠는가?

거의 30년의 시간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보낸 필자의 경험으로는 위의 세가지 중 한가지만이라도 충족된 아이들은 집단 따돌림의 가해자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아도 좋다. 물론 아주 가끔 예외는 있다. 이는 아이들의 사춘기를 일컫는 말이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친구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자신도 모르게 이런 일들에 휘말릴 수가 있다. 그러나 앞에 말했듯 가정에서 충분히 사랑받고 부모와 대화를 나누는 아이라면 곧 자기자리로 돌아올 것이다. 그럴 때 교사와 부모의 할 일은 아이를 다독이고 잠시 기다려 주는 것이다.

그러나 참으로 어려운 일은 많은 부모들이 가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기를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가정의 원인은 바로 자기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에게 일어난 일들의 원인을 밖으로 돌리기에 급급하다면 바로 질러 갈 수 있는 길을 멀리 돌아가는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이다. 우리 아이가 마음이 아픈데 빨리 좋은 약을 쓰지 못하고 이약 저약 쓸데 없이 많이 먹기만 해서야 되겠는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