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히로시마시교육위원회는 여름 더위 방지 대책으로 시립 초,중등학교 모든 교실에 냉방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다. 올 여름부터 10년만에 전교실의 기온을 측정하고 시범학교에서는 교사 외벽을 식물로 둘러싸는 “벽면 녹화”를 실시하여 실내의 더위를 식히는 효과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등 연내를 목표로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시내 초중등학교 204개 학교 중 97%에 해당하는 197개 학교는 보통교실과 거의 모든 특별 교실에 냉방기구가 없다. 완비된 곳은 히로시마 비행장(서구)의 소음 대책 등을 목적으로 한 6개 학교 뿐이다.
전체의 학교 교실 기온에 대해서는 시교육위원회가 1998년상순에 조사한 하루 중(계 3회 관측)평균 기온이 27~34도였던 기록이 있다. 그러나 히로시마에서는 작년 9월에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은 한여름 더위가 26일간에 달하는 등 당시와 비교하여 기온이 상승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여름 방학중의 학교 이용도 늘어나고 있어서 시교육위원회는 알맞은 학습환경 확보와 열사병 예방의 관점에서 재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7,9월을 중심으로 전체 학교에서 교실 온도를 측정하여 정부가 교실 온도에 대해서 “알맞다”라고 하는 30도 이하인지 아닌지 조사한다.
시교육위원회 시산으로는 냉방기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교실은 합계 4천개 교실에 이르고 도입 경비는 약 71억엔이 든다. 기간도 5년이 걸릴 전망으로 대여나 민간자본 활용에 의한 사회자본정비(PFI)도 포함하여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벽면녹화는 초등학교 2개 학교를 시범학교로 지정하고 환경학습도 할 겸 외벽에 망을 달아서 나팔꽃 등을 재배한다. 정령지정도시로는 교토시가 전체 학교에 냉방기기를 완비했고, 사이타마시도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시교육위원회 아라모토 교육부장은 “냉방은 기구의 방사열로 지구환경을 파괴하는 것 외에 도입 비용이나 전기세 등 재정적인 과제도 많이 있다. 어린이들의 교육환경의 충실과 예산 확보를 위해 어떻게 타협할 수 있을지 신중하게 처리해나가겠다.”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