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사람들의 입줄에 오르내리고 있는 것 중 하나가 교장 선생님의 ‘가짜 청첩장’ 사건이다.
내용인즉 다음 달 말 정년을 앞둔 광주 모 중학교 교장 선생님이 소속 교직원과 학교운영위원 등 200여명에게 차남의 결혼식 청첩장을 돌렸다. 청첩장을 받은 사람들은 축의금을 건넸고, 교직원 친목회와 학교운영위원회에서도 돈을 전달했다. 결혼식장이 멀어 피로연을 미리 열겠다며 광주의 한 식당에서 식사 대접도 했다.
여기까지는 상부상조를 최우선으로 하는 우리 사회에서 의례 있는 일이다. 그런데 예식에 참석하려고 예식장에 전화를 하던 교직원들에 의해 가짜라는 게 밝혀졌고, 이미 결혼한 아들의 결혼식을 개인 사정으로 알리지 못했었다며 부랴부랴 축의금을 돌려줬다.
‘뿌린 대로 거둔다.’는 말은 돈을 거둬들이라는 게 아닌데 그동안 경조사비로 지출한 돈을 퇴직하기 전에 거둬들이고 싶은 욕심이 생겼을 것이다. 수양딸 삼아 잔일 시키던 부모 없는 아이가 머리 커져 집 나가더니 멀리서 결혼식한다고 불쑥 나타나자 딸 결혼한다고 청첩장 돌려 돈 챙기는 사람이 없던 게 아니다. 하지만 그때와 지금은 세상이 변해도 너무 많이 변했다.
교장 선생님이 ‘가짜 청첩장’을 보냈다가 들통 났다? 같은 동료들도 이해하기 어려운데 일반인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본인의 의도야 어찌되었건 사람들에게 웃음거리를 제공할만한 한편의 코미디 극이다.
이런 일이 어디 본인 망신당하는 것으로 끝날 일인가? 교육계 전체로 망신살이 뻗쳐 죄 없는 교직원들까지 낯 뜨거워 한다는 것을 학교의 최고 경영자니 누구보다도 잘 알 것이다. 왜 알만한 사람들이, 교육발전에 앞장서야 할 사람들이 걸림돌을 놓으며 발목을 잡는지 모르겠다.
그 놈의 돈에만 눈멀지 않았더라면 동료, 제자, 학부형들의 축하를 받으며 명예롭게 퇴임식장에 섰을 게 분명하다. 더구나 정년이 불과 한달 남은 상황이고, 40년 3개월을 과오 없이 재직하여 황조근정훈장을 받을 예정이었다니 본인에게는 무척 불행한 일이다.
그렇다고 은근슬쩍 넘어갈 일도 아니다. 가슴 아픈 일이지만 교육 발전을 위해서라도 뭔가 결단을 내려야할 만큼 중요한 사안이다. 그런 면에서 품위 손상을 이유로 직위 해제를 결정하고, 정부에 요청했던 서훈 신청을 철회키로 한 광주광역시교육청의 발 빠른 행보는 박수 받을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