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의 삶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바쁜 일상인 것 같다. 일본의 교사들도 너무 바빠서 아이들과 접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분주함」을 해소하기 위해 문부과학성은 2008년도부터 교원의 부담을 덜어주어 「아이들과 마주할 시간 확충」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문부과학성에 앞서 미야자키현 고바야시시교육위원회는 금년도에 학교 사무직원이 선생님의 일을 돕는「학교지원센터」(SSC)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주목을 끌고 있다.
고바야시시립 초등학교 사(40대)는 「아이들의 이야기도 서류를 쓰면서 들을 수 밖에 없다. 미묘한 변화를 간과해 버리는 것은 아닌지!」라며, 근년 급증하고 있는 업무에 대한 고민을 털어 놓았다.
정부나 현의 조사, 의뢰 업무 등은 날마다 증가 할 뿐만 아니라, 회의나 서류작성이 많아져서 학부형들과 협의와 연락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점심시간 후 쉬는 시간에 아이들과 하던 피구도 지금은 한 달에 한번 할 수 있을까 정도이다. 한 교사는 「좀 더 많은 시간 함께 있고 싶은데!」라며 한 숨을 내쉰다. 분주한 일 때문에 교원들은 정신적으로도 심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 그 결과, 2005년도에 정신성 질환으로 휴직한 공립학교 교원은 전국적으로 과거 최다의 4178명에 이르렀다.
이 시교육위원회는 올 봄에 고바야시초등학교에 SSC사무국을 설치하여, 시내 각 초등학교의 사무직원을 SSC소속으로 한 것은 그러한 선생님들의 업무량을 줄이기 위해서다. 2005년 2월에 전국 초중등학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도와주기를 바라는 업무」를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것은 회계 업무, 학생정보 전산처리 등이었다.
시교육위원회가 고안해 낸 것이「학교 수금 종합 관리 시스템」이다. 미야자키 소프트회사와 공동으로 소프트를 개발하여, 교재비 등을 은행에 자동 납부로 수금하여 사무직원이 컴퓨터상으로 일괄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이 가정에서 가지고 온 돈을 교사가 수금해서 일일이 계산해왔던 계산관리작업은 비약적으로 효율화되었다. 이같은 일은 「민간에서는 당연한 일」이라고 시교육위원회의 후루사와장학사는 쓴 웃음을 지으며 회상하였다.
이 외에 종래에는 학급이 변할 때마다 담임이 만들었던 학생 명부도 사무직원이 일괄해서 관리 작성하도록 변경했다. 소풍이나 과외활동 등의 대회 협의도 사무직원이 돕고, 학급문고를 각 학교에서 회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사무직원 입장에서는 사무가 늘어나기는 했지만「시스템도입으로 관리하기 쉽게 되어, 학교 사무 전반을 폭 넓게 볼 수 있게 되었다」라고 SSC의 하기와라 사무국장은 이야기했다.
교사의 업무량을 줄이는 시도는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어서, 도토리현 난부정은 행사 예정이나 교원의 일정 등을 정리한 학교일지를 시스템화하여,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지역주민에 의한 학교견학 등의 행사도 사무직원이 기획. 운영하도록 했다.
쓰쿠바대 대학원 미즈모토 준교수는(교육경영론)「학교 사무를 담당하는 직원의 절대수가 부족하여 원래는 할 필요가 없는 일을 교원이 하고 있다. 베테랑 교사일수록 사무부담이 크고, 아이들과 접할 시간을 갖지 못하는 상황에서 고바야시시가 실시한 사업은 의의가 있다. 단지, 합리화에는 한계가 있다. 사무직원의 증원이나 현장의 재량으로 직원배치를 할 수 있도록 검토할 시기가 왔다」라는 견해를 보였다.
2006년도에 문부과학성이 정리한 교원 근무실태조사에 의하면, 초중등학교 교원의 평균 시간외 근무시간은 전회 조사(1996년도)의 월 8시간에서, 2006년도는 34시간으로 급증했다. 클럽활동이 많은 중학교가 시간외 근무가 많고 초등학교 29시간, 중학교 39시간이었다. 서류 작성과 회의 등의 사무 작업의 증가와 학생지도, 학부형과의 연락의 부담 증가 등이 원인인 것으로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