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비공식 교육부 장관 모임이 1월11, 12일의 2일간, 일본 도쿄 국제 교류관에서 열렸다. 이번 모임에서는「고등교육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테마로, 지금까지 국제적인 통일 기준이 없었던 대학·대학원의 평가 방법의 도입을 향해서 향후, OECD가 연구를 시작하는 것에 합의했다.
이 회합에는 30의 가맹국 중 한국이나 독일 등 20개 국가·지역의 대표자가 참가하였다. OECD가 주로 가맹국의 15세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국제 학습 도달도 조사(PISA)」를 참고로 한 새로운 평가방법의 도입에 대해 서로 이야기했다. 그 결과, OECD가 대학·대학원의 평가방법의 도입을 향해서 본격적인 연구를 개시하는 것으로 각국이 일치를 보았다.
OECD는 도입에 대하여 적극적인 스웨덴이나 스페인, 한국, 일본 등 여러 나라 대학의 협력을 얻고, 2009년까지 평가 방법이나 과제등의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전문 분야로서는, 국제적인 공통점이 많은 공학이나 경제학, 자연과학등이 올랐다. 그러나 이는 「결국은 대학의 랭킹으로 연결될 뿐이다」(오스트리아),「우리 나라의 대학 단체는 반대하고 있다」(캐나다) 등 소극적인 의견이 나오기도 하였다.
국제 학습 도달도 조사는 15세를 대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몸에 익힌 지식이나 기능을 어느 정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을까를 시험하는 조사로 2000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며, 06년은 57개의 나라·지역 약 40만명이 참가했다. 일본은 06년에 과학적 응용력이 6위, 수학적 응용력이 10위, 독해력이 15위와 전분야에서 순위가 내려가고 있다.